
군대 내 가혹 행위와 군 병원의 오진으로 한 병사가 5개월째 걷지 못하고 우울증에 시달리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군은 사안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감찰에 착수하는 동시에 진료비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국방부 부승찬 대변인은 4일 정례 브리핑에서 육군 상무대 병사 가혹 행위와 군 병원 오진 주장에 대해 “국방부는 해당 사안에 대해 매우 엄중히 받아들이고 있다”며 “사안의 심각성을 고려해 감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환자에 대해서는 군이 모든 책임을 지고 진료비 지원 등 적극적으로 조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대변인에 따르면 국방부는 환자 발생 이후 부대에서의 진료 지연과 진료 과정의 부적절성, 격리 문제 등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 서욱 장관이 직접 지난달 27일 감사를 지시하고, 관련자를 규정에 따라 엄중 처벌하도록 했다는 설명이다. 부 대변인은 “군 병원 전체에 대한 문제점을 식별하고 장병 진료 지원에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완 대책을 지속적으로 강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앞서 육군 상무대 근무지원단에서 복무 중인 병사의 아버지 A씨는 지난 3일 페이스북 커뮤니티 ‘육군훈련소 대신 전해드립니다’에 해당 내용을 제보했다. A씨는 “건강했던 아들이 군 가혹 행위와 군 병원의 오진으로 다섯 달 째 걷지 못하고 있다”며 “정신도 피폐해져 우울증 증세도 보이고 있다”고 도움을 요청했다.

제보 글에 따르면 이 병사는 입대 3개월째인 지난해 11월 유격훈련에서 ‘어깨동무하고 앉았다 일어서기’ 300회를 하던 중 인대가 파열됐다. 이후 통증을 호소했음에도 군은 두 달 가까이 ‘꾀병’이라며 묵살했다. A씨는 아들의 부상 부위에 염증이 발생해 고열 증세를 보이자 해당 부대에서 1월 혹한기에 난방이 되지 않는 이발실에 아들을 가두고 24시간 동안 굶겼다고 주장했다.
결국 이 병사는 부상 3개월 만에 세종충남대병원에서 발목인대수술을 받고 부대로 복귀했지만, 이후 격리 과정에서 세 차례나 계단에서 굴러떨어지는 낙상 사고를 당했다. A씨는 “부대 지휘관이 본인들의 책임은 없으니 아들을 데려가 알아서 치료하라는 식으로 이야기했다”며 “이후 치료를 받고 국군대전병원으로 복귀했지만 제대로 치료나 관리를 받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현재 아들은 극심한 통증과 항생제 부작용으로 구토와 어지러움을 호소하고 있다고 A씨는 전했다.
A씨는 관련 사실을 정리해 국방부 장관에게 민원을 제기했지만, 서류가 가해자인 부대 지휘관에게 전달됐다고 주장했다. 이후 다시 국민권익위원회에 민원을 제기하고 나서야 군 관계자들이 아들을 찾아와 살폈다는 설명이다. A씨는 “군 측 발언에 대한 녹취자료와 진정서 등 증거를 준비한 상태”라며 “부모로서 너무 억장이 무너져 (이 사연을) 공유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고 적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
▶“입대 석달 만에 못 걷게 된 아들, 꾀병이라며 감금”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