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9월 확정되는 ‘2050 산림부문 탄소중립 추진전략’이 과도한 벌채를 야기할 수 있다는 논란이 불거지자 산림청이 “생물다양성 보전을 최우선 가치로 보호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29일 산림청에 따르면 탄소중립 추진전략은 2050년까지 나무 30억 그루 심기 등을 통해 탄소 3400만t을 줄이는 것이 목표다.
하지만 주요 환경단체 및 생태전문가들은 최근 이 전략을 두고 “산림청이 산림을 탄소흡수를 위한 수단으로만 바라볼 뿐, 생물다양성 증진 등 산림의 다양한 공익기능은 고려하지 않는다”고 비판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모든 산림에서 30년생 이상 나무 대부분이 베어질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이에 대해 산림청은 “백두대간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국립공원 등 보전가치가 높은 산림은 생물다양성 보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보호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나무를 수확하고 심는 정책을 전체 산림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경제림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또 과도한 벌채 대신 도시숲과 산림복원 등에 1억 그루, 북한 황폐지에 3억 그루의 나무를 심고 나머지 26억 그루는 경제림 및 산림 피해지에 심는다는 계획이다.
산림의 공익적 가치 측면의 경우 희귀·특산식물 자생지, 수원함양림, 백두대간 등 보호지역의 면적을 확대해 강화한다는 복안이다.
여기에 백두대간과 비무장지대(DMZ) 일대, 섬 지역 등 생태 가치가 우수한 산림의 훼손지역을 복원하는 등 산림의 공익적 가치 증진을 위한 노력도 지속해서 추진한다.
베어낸 나무를 잘 활용하지 못한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첨단 기술 기반의 목조 건축을 늘리는 방안으로 대처하기로 했다.
특히 원목은 제재목, 부산물은 보드용·펄프용,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는 연료용으로 이용하는 등 수확된 나무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해외에서의 산림사업이 숲을 해친다는 비판 역시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일례로 ‘개도국 온실가스 감축사업(REDD+)’의 경우 산림이 다른 용도로 전용·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활동이라고 산림청은 설명했다. 야생동물 포획금지·지역주민 소득창출 지원 등 해당 국가의 자연환경과 생태계 건강성을 고려한 사업이라는 것이다.
이미라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이번 환경단체의 지적을 통해 그동안 다양한 전문가 및 관련 기관과의 소통이 부족했음을 절감했다”며 “9월까지 전략안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을 경청하고 실질적인 참여를 더욱 확대하겠다”고 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