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지역에서 희망 학생과 교직원을 대상으로 선제 유전자증폭(PCR) 검사가 시범 도입된다.
신학기 개학 후 한 달 반 만에 학생·교직원 확진자가 2000명을 넘어서자 교육부가 학교·학원 방역 고삐를 다시 잡아당긴 것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러한 내용을 골자로 하는 ‘전국 학교·학원 코로나19 방역대응 강화 조치’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이날부터 다음 달 11일까지 3주간 전국 학교·학원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방역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서울 지역에는 다음 달 초부터 시범적으로 선제 PCR검사를 운영한다.
간호사, 임상병리사 등 3명이 1조로 구성된 전담팀이 관내 학교를 순회하며 검사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현재 유증상자, 확진자 접촉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방역 당국의 검사와 별개로 무증상자임에도 검사를 희망하는 초·중·고 학생, 교직원을 대상으로 이뤄진다.
서울 외 지역은 시범사업 결과에 따라 확대 여부를 판단하기로 했다.
앞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 지역 학교를 대상으로 자가검사키트를 사용하자고 제안했지만 교육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유 부총리는 지난 15일 코로나19 학교 방역 강화를 위한 전문가자문회의에서 학교 방역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고 절차적 허가도 돼 있지 않다며 “(자가검사키트를) 학교에 우선 적용하기에는 시기상조”라며 공개적으로 반대한 바 있다.
한편 전국 학교·학원 대상 집중방역 기간에는 학생과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마스크 착용하고 수시로 손씻기 ▲거리두기 철저히 지키기 ▲감염이 우려되면 신속하게 검사받기 ▲밀폐 시설·밀집 장소 이용하지 않기 ▲음식은 지정된 장소에서 조용히 섭취하기 등 5대 예방수칙을 철저히 준수토록 집중적으로 강조한다.
유·초·중·고교와 대학에서는 학교 안팎의 생활지도를 강화하고 유증상자는 즉시 업무에서 배제하는 등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