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20일 신임 검사들을 대상으로 특수수사 교육을 진행했다. 강연자로 나선 검찰 특수부 출신 김영종 변호사는 “최정예로 공수처 검사를 선발했다”고 격려하는 동시에 “공은 나누고 과는 책임지는 검사가 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수처는 이날 오후 대회의실에서 ‘성공과 실패를 통해 보는 특수수사’를 주제로 김 변호사가 2시간 가량 강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김진욱 공수처장과 여운국 차장, 신임검사 13명이 강의에 참석했다.
특강에 나선 김 변호사는 “그동안 특수부 검사들이 아집에 빠지는 경우가 많았다”며 “동료나 수사관 발언을 항상 경청해야 한다. 동료애와 팀워크가 수사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강조했다. 지나친 공명심을 주의하라는 경고도 있었다. 김 변호사는 “누구나 성과를 내고 싶어 하지만 공은 나누고 과는 책임지는 검사가 돼야 한다”며 “발 뻗고 자려면 원칙 그대로 수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사방식에 대하서는 “피의자들을 인간적으로 대하고 강압적으로 수사하지 말라”며 “첨단장비를 사용하는 등 새로운 수사방식 개척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공수처 검사를 선발하는 인사위원회 위원이기도 한 김 변호사는 신임 검사들에 대한 격려도 잊지 않았다. 김 변호사는 “언론에서 수사 능력에 대해 큰 우려를 하나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최정예로 선발했다”며 “13명이면 어떤 수사를 해도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공수처 신임 검사가 임명된 이후 법조계에서는 수사 능력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신임 검사 13명 중 검찰 출신은 4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는 “선발된 검사들이 관련 경험이 많아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모두 깜짝 놀랄 것”이라고 격려했다.
김 변호사는 1994년 서울지검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해 대검찰청 첨단범죄수사과 과장·범죄정보기획관, 의정부지검 차장검사 등을 지냈다. 2003년 수원지검 검사로 일하던 당시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마련한 ‘검사와의 대화’에서 노 전 대통령의 청탁 의혹을 제기한 당사자이기도 하다. 노 전 대통령은 당시 “이쯤 되면 막 가자는 거지요”라며 불편한 기색을 보였다.
임주언 기자 e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