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 매립지가 2025년에 종료됨에 따라 각 지자체에 비상이 걸린 현재 경기 남양주시의 ‘환경혁신’이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조광한 남양주시장은 “인간이 문명을 발전시키며 자연과 공존해왔으나 이제는 공존이 불가능한 상태로 치닫고 있다”면서 “기후변화는 기후위기가 되었고, 이제는 ‘기후비상’의 단계에 들어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시는 소중한 자연을 지키기 위해 ‘깨끗한 Ecopia 남양주’와 ‘쓰레기 20% 감량’의 목표를 세우고 조 시장이 직접 쓰레기혁신단 단장을 맡는 등 앞장서 진두지휘하고 있다.
쓰레기를 줄이고 깨끗한 환경을 만드는 환경혁신은 시가 주도하지만, 시민의 의식변화와 실천의지 없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남양주시의 다양한 환경혁신 정책과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노력을 알아본다.

▲ 아이스팩을 나이스팩으로
아이스팩은 미세플라스틱 덩어리로 매립하면 썩는 데 500년이 걸리고 하천으로 흘러가면 어패류를 통해 인간의 몸으로 되돌아와 심각한 면역체계 교란을 일으킨다. 사람들은 지금도 일주일에 신용카드 한 장 분량, 약 5g의 미세플라스틱을 먹고 있다고 한다.
아이스팩 사용량도 폭증해 지난해 3억2000만여 개가 사용된 것으로 추산되고 올해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남양주시는 이러한 아이스팩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더 늦기 전에’ 라는 슬로건으로 지난해 9월부터 아이스팩 수거 사업을 펼치고 있다. 아이스팩을 모아오면 종량제봉투로 교환해주는 사업이다.
환경을 오염시키고 재활용도 되지 않아 처치 곤란이던 아이스팩으로 종량제봉투를 받으니 아이스팩이 ‘나이스팩’이 된 셈이다. 시민들의 큰 호응에 힘입어 6개월 여간 약 690t이 수거됐으며, 지역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등 누적 재사용 공급은 385개소나 된다.
남양주시는 수거한 아이스팩을 세척 소독해서 최대한 재사용하고, 오염과 파손으로 재사용할 수 없는 것들은 내용물인 미세플라스틱을 분리해 건조시켜 그 부피를 90%이상 축소해 폐기한다. 환경오염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니 또 나이스다.
한편 조 시장은 환경부에 아이스팩의 재사용을 늘리기 위한 규격화 등을 정책 제안했고, 대도시 협의회에서도 제안해 만장일치로 채택되기도 했다.

▲ 북극곰 살리는 북극곰마을 시범 운영
조 시장은 인류의 마지막 문제는 쓰레기 문제라고 강조한다. 남양주도 쓰레기 불법투기, 재활용품 미분리 등의 문제가 심심찮게 발생한다. 특히 아파트 등 공동주택보다 단독주택이나 자연부락의 쓰레기 문제가 심각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남양주시는 다세대와 빌라가 많이 밀집해 있는 화도읍 묵현리를 쓰레기 줄이기 시범마을로 지정하고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환경을 살리고 북극곰을 살리자는 의미로 ‘북극곰마을’로 명칭을 정했다.
우선, 종량제 봉투를 지정된 그린존에 버리고 그린카(친환경 전기차)가 수시 수거해 골목길에 쓰레기가 쌓이지 않도록 했다. 에코피아 센터를 설치해 재활용품을 가져오면 양에 따라 지역화폐로 지급해 재활용품을 종량제 봉투에 섞어 버리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고 재활용률을 높인다. 시는 북극곰마을의 성과와 보완점을 검토해 시 전체로 확대할 계획이다.

▲ ‘줍고 뛰고’ 시민참여 플로깅 활성화
플로깅이란 스웨덴어 ‘플로카 우프(이삭을 줍다)’와 영어 ‘조깅’의 합성어로, 천천히 달리면서 쓰레기를 줍는 활동을 뜻한다. 쓰레기를 줍는 동작이 스쿼트나 런지 자세와 비슷해 일반 조깅에 비해 칼로리 소모가 크며, 더불어 환경을 깨끗이 하는 자발적인 친환경 운동이다.
최근 남양주시는 플로깅 활성화를 위해 시민 플로깅단을 모집하고 인센티브를 주는 등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 눈길을 끌고 있다. 시민들은 동네마실 플로깅과 하천변 플로깅 두 가지로 참여할 수 있다.
동네마실 플로깅단은 남양주시 100가정을 선착순으로 모집하고, 매달 1회 이상 자유롭게 걷거나 달리면서 쓰레기 줍기 활동 후 SNS에 인증을 하면, 봉사활동 시간으로 인정하고 우수참여자를 시상한다.

▲ ‘에코폴리스’ 쓰레기 무단투기 단속과 ‘싹쓰리데이’
남양주시는 쓰레기를 줄이고 깨끗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쓰레기를 무단투기하거나 종량제 봉투에 재활용품과 음식물 쓰레기를 섞어버리는 등 양심까지 버리는 행위를 감시해 단속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있다.
에코폴리스를 읍면동별로 12개 읍면동에 1, 2명의 인력을 배치해 쓰레기 정돈, 파봉 및 주민 계도, 과태료 신고 등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유동인구가 많아 야간에 무단투기가 잦은 취약 지역을 중심으로 관리의 실효성이 높은 지역에 배치한다.
매월 둘째 주 화요일은 ‘무단투기 싹쓰리 데이’로 지정하고 전체 새마을회가 16개 읍면동에서 동시에 환경 대청소를 실시해 생활쓰레기 감량을 위한 시민 붐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 No 쓰레기 Yes 남양주 ‘노쓰챌린지’
‘노쓰챌린지’는 쓰레기 발생 자체를 줄이기 위해 시작된 환경 실천 릴레이 운동이다. 텀블러 사용하기, 반찬 남기지 않기, 개인 용기로 음식 포장하기 등 쓰레기 감량 활동을 실시하고 개인 SNS에 공유하거나 카톡 프로필 사진을 바꾼 후, 후발 주자 3명을 지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캠페인이다.
시민 모두가 즐겁게 캠페인에 동참해 일상생활에서 쓰레기 감량을 실천하도록 의식개혁을 하는 운동으로, 더 많은 시민과 함께하기 위해 3월 한 달간 시 공식 블로그를 통해 ‘노쓰챌린지 참여 인증 이벤트’도 진행했다.
조광한 시장은 “교통·공간혁신은 시가 주도해 나갈 수 있지만 환경혁신은 시민들의 협조와 참여 없이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면서 “시민들의 의식 변화와 실천의지의 확산 등 적극적인 동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남양주=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