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버드대 등 15개 미국 로스쿨에 재학 중인 아시아계 학생들이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의 방미에 앞서 백악관에 위안부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한국계뿐 아니라 아시아계로 이뤄진 미국인 학생들이 반(反)인권·여성 범죄인 위안부 문제 해결을 공개적으로 요구함에 따라 인권을 우선 가치로 여기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대응이 주목된다.
하버드대 아시아태평양법대학생회(APALSA)는 6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에게 미·일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를 제기해 달라는 요청이 담긴 서한을 백악관에 발송했다고 밝혔다.
컬럼비아·스탠퍼드·예일 등 14개 대학의 아시아태평양법대학생회가 함께한 서한에서 학생들은 바이든 대통령에게 “스가 총리에게 위안부 피해자들을 향해 분명하게 사과하도록 권유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들은 미·일 정상회담에서 위안부 문제가 안건이 돼야 할 이유로 “위안부 피해자들의 존엄과 정의가 실종된 문제의 봉합 시도는 아시아에서 미국의 가장 중요한 동맹인 한국과 일본 사이의 불신만 깊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미국이 아시아 정책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한·일 관계의 복원이 시급하고, 이를 위해 위안부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실제로 미국 국무부도 최근 한국과 일본에 역사 문제 갈등에 대한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한 논의를 권장하며 한·미·일 3자 협력의 중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

학생들은 서한을 통해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했다. 일본 내각이나 의회 결의를 통한 분명한 사과 입장 표명 이외에도 일본 총리가 국제 언론을 상대로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사과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일본 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왜곡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최근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의 논문을 통해 위안부 역사를 부정하고 왜곡하려는 주장들이 일본뿐 아니라 미국 등 다른 나라에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목도했다”며 일본 정부의 자금 지원 속에 진행 중인 역사 왜곡과 외국의 소녀상 철거 요구 운동의 중단을 요구했다.
한편 바이든 대통령은 오는 16일 백악관에서 스가 총리와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다. 이번 미·일 정상회담에서는 중국과 북한에 대한 공조와 미·일 협력방안 등이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주연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