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7 재보궐선거 승리를 위한 여야의 선거 전략이 딱 1년 전인 21대 총선 때와 180도 달라졌다. ‘범진보 180석 가능설’까지 나돌았던 지난해 총선 직전 더불어민주당은 “과반 확보를 통한 개혁과제 추진”을 주장했고,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은 “개헌 저지선(100석)도 위태롭다”면서 읍소 전략을 폈다. 그러나 1년 만에 민주당은 “절박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읍소하고 있는 반면, 국민의힘은 내부에 “방심은 금물”이라며 입조심을 시키는 상황으로 바뀌었다.
완전히 뒤바뀐 여야의 선거 전략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로 들끓은 민심에서 비롯됐다.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 22~26일 전국 18세 이상 2516명을 조사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 지역 국민의힘 지지율은 전주보다 2.3% 포인트 상승한 41.2%로, 처음으로 40%대를 찍었다. 민주당은 0.6% 포인트 떨어진 25.6%였다. 부산·울산·경남에선 국민의힘 42.1%, 민주당 24.4%로 상당한 격차가 나타났다.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이 문화일보 의뢰로 지난 26~27일 서울 지역 18세 이상 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47.3%)는 박영선 민주당 후보(30.6%)를 16.7% 포인트 차로 앞섰다. 여권 지지세가 강한 40대에서도 오 후보 41.3%, 박 후보 39.4%로 박빙의 경합이었다. ‘정부·여당 견제론’과 ‘정부·여당 지원론’은 각각 55.6%, 29.2%로 조사됐다(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여야 후보 간 격차가 벌어진 상황에서 막판 변수는 LH 사태에 분노한 민심이 실제 득표율로 얼마나 이어질지 여부다. 배철호 리얼미터 수석전문위원은 “민주당으로선 언더독 효과(약세 후보를 동정하는 현상)와 조직표에 기대를 할 수 있다”면서도 “오랫동안 누적된 부동산 관련 민심이 상쇄될 만한 변수는 현재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분노한 민심의 불을 끄는 데 사활을 걸었다. 여권은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 전격 경질에 이어 전국 부동산 투기 사범 색출에 나섰으며, 무주택자 대출규제 완화와 투기 이익 환수를 위한 입법 추진 등 관련 대책을 쏟아냈다. 내부적으로는 “여론조사와 실제 투표 결과는 다를 수 있다”면서 ‘샤이 진보’의 투표 러시를 기대하고 있다. 이는 지난해 총선 당시 야당이 숨은 보수표에 마지막 기대를 걸었던 것과 대비되는 모습이다.
반면 국민의힘은 ‘분노 투표’를 독려하고 있다. 4월 2~3일 진행되는 사전투표 독려 캠페인도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이 역시 과거 보수정당보다는 주로 진보 계열 정당이 청년층 투표를 유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투표 독려를 했던 것과 달라진 상황이다.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최근 네거티브 선거전 양상과 관련해 “유권자들의 수준이 고도로 높으니까 막말 같은 것은 가급적 자제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경택 이상헌 기자 ptyx@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