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북부지역의 치안을 책임지는 경기북부경찰청이 개청 5주년을 맞았다.
경기북부경찰청은 ‘가장 안전한 경기북부, 존경과 사랑받는 경기북부경찰’을 꿈꾸며 갈수록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특히, 전국에서 유일하게 경기도 1개 광역지자체에 2개의 경찰청이 있는 특수한 상황에서도 전국 치안수요 5위권을 담당하며 훌륭하게 시민의 안전을 지키고 있다.
개청 5주년을 맞은 경기북부경찰청이 존재하게된 과정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과제와 경기북부경찰의 미래를 살펴본다.
◇ 개청 이전
2000년대 들어 수도권에 인구가 계속 집중되면서 경기북부에도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경기북부 인구만해도 서울과 경기남부에 이어 전국 광역지자체 17곳 중 3번째로 많다.
이에 따른 치안수요도 많아지게 됐고, 한강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나뉘는 경기도 특성 및 대북 접경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수성까지 부각되면서 경기북부지역만의 독립된 경찰청을 설치해 달라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다.
이에 2005년 3월 경기지방경찰청 아래 제4부(경무관)가 신설됐지만 조직과 인력은 모자랐고 치안수요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불과 3년여가 지난 2008년 10월, 기존의 4부는 경기지방경찰청 제2청으로 승격됐다. 총 책임자로 치안감 1명이 발령났고, 부서와 근무인원이 늘어나면서 독립적인 치안행정을 펼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
그러나 사실상 상급기관이었던 경기청 중심의 조직 운영 및 지리적 한계로 인한 행정효율성 저하와 같은 애로사항은 쉽게 해결되지 않았고, 결국 독자적인 관청을 만드는 것만이 해답이었다.
이후 국회 및 관계 부처에 개청 필요성을 꾸준하게 요청한 결과, 2012년 2월 1개의 광역자치단체에 2개의 지방경찰청 설치가 가능하도록 경찰법이 개정됐고, 4년이 지난 2016년 3월 25일 드디어 경기북부지방경찰청이 새롭게 문을 열게 됐다.

◇개청 이후 현재까지
경기지방경찰청이 경기남부·북부지방경찰청으로 나눠져 완전히 독립하게 되면서 경기북부지방경찰청은 청장을 중심으로 1차장, 11과, 36계 및 11개 경찰서 체제로 출범했다.
이후 나날이 증가하는 치안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매년 조직을 확장, 세분화했다.
개청 첫 해 일산서부경찰서가 생겼고, 2017년에는 안보상황 및 테러·재난 등을 전담하는 보안과와 특공대·항공대가 창설됐으며, 2018년에는 지능범죄수사대가 신설됐다.
이듬해 경무관 1명이 충원돼 부장제가 도입되면서 사이버안전과와 과학수사과가 만들어졌고, 지난해에는 고속도로순찰대가 창설됐으며 경기북부지역 13번째 경찰서인 남양주북부서가 개소했다.
조직이 커지면서 인력과 예산도 자연스럽게 증가했는데, 개청 당시 5520명이었던 근무 인원은 5년이 지난 현재 1500명 가까이 증가해 약 7000명에 이르렀고, 예산도 매년 증액돼 올해는 총 4876억원이 배정됐다.

경기북부경찰은 이렇게 치안인프라를 갖춰가면서 역량도 함께 키워나감으로써 주민들에게 더 나은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무엇보다 ‘주민 일상생활의 안전 확보’와 ‘변수없는 안보상황 관리’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데 집중했으며, 직원 모두의 노력과 주민들의 협조와 응원 덕분에 전국 치안성과평가에서 개청 이후 줄곧 상위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2017년 6위 → 2018년 6위 → 2019년 5위 → 2020년 6위)
지난해 주요 성과를 살펴보면 코로나19 상황 관련 112신고를 약 4600건 처리하고, 다중이용업소 약 4만9000곳을 점검하는 등 유례없는 재난 상황에서도 총력 대응 활동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
또한, 절도 및 대여성범죄의 실시간 분석을 통해 수법·장소·예방코드를 부여하고 맞춤형 대응하는 ‘범죄예방정보관리시스템(CPIMS)’을 자체 개발·운용함과 동시에, 다양한 공동체치안 활동을 펼쳐 5대 범죄 감소율 전국 1위를 달성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사이버 범죄에도 적극 대응했다. 국제 사이버범죄 조직(총책 등 31명, 피해액 431억원)과 조건만남 피싱사이트 운영 조직(32명, 피해액 43억원)을 일망타진하고, 미국 SNS인 ‘디스코드’ 서버 운영자 등 피의자 293명을 검거해 디지털 성범죄 근절에 앞장섰다.

◇경기북부경찰청의 미래
올해 경찰은 ‘국가·수사·자치’ 3원 체제로 변경되면서 75년 국가경찰 시스템이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대전환기를 맞이하게 됐다.
‘경기북부지방경찰청’이었던 명칭은 ‘경기북부경찰청’으로 바뀌었고, 기존 ‘1청장-2부-13과’는 ‘1청장-3부-15과’로 확대 개편됐다.
경기북부경찰은 ‘국민체감 경찰개혁’의 원년을 맞아 가장 중요한 과제인 ‘자치경찰제의 안착 및 책임수사의 성공적 구현’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자치경찰제의 경우, 경기도가 전국 유일의 ‘1도-2경찰청’이라는 지역적 특수성이 있는 만큼 경기북부 지역이 상대적으로 소외되지 않도록 오는 7월 본격 시행 전까지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책임수사 관련, 수사관 자격관리제 및 과·팀장 자격제를 도입해 수사 전문성을 강화하고, 범죄의 광역화·지능화 추세에 맞춰 중요사건은 도경찰청에서 직접 수사한다. 각 관서에는 수사심사관을 배치하고 ‘경찰수사 시민위원회’를 도입해 완결성 및 공정성을 확보하는 다양한 제도를 마련·시행 중이다.
그렇지만 매년 중위권을 유지하는 주민들의 체감안전도 향상과 신도시 개발 등으로 증가하는 치안수요에 맞춘 인력·예산의 확충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우종수 경기북부경찰청장은 “인구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경기북부 접경지역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가장 안전한 경기북부, 존경과 사랑받는 경기북부경찰’이 될 수 있도록 성심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