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이하 수공)는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토크 콘서트를 열고 지속가능한 국민 물안전·물복지 해법이 될 ‘물특화 ESG 경영’을 선포했다고 16일 밝혔다.
김미경 강사가 진행한 토크 콘서트에는 박재현 수공 사장, 조천호 전 국립기상과학원장, 타일러 라쉬 세계자연기금 홍보대사, 윤덕찬 지속가능발전소 대표, 김도현 청소년 기후행동 활동가 등이 참석했다. 박 사장은 홍수·가뭄·한파 등 기후변화로 인한 물 재해 예방과 수상태양광·기후탄력도시 등을 통해 탄소중립을 책임지는 수공의 역할을 제시했다.
아울러 수공은 국민 물안전·물복지 혁신과 물관리의 미래 도약을 약속하며 ‘ESG 경영’을 선포했다. ESG 경영은 재무적 성과를 넘어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아우르며 세계적으로 그 중요성이 확산되고 있다.
환경(E) 측면에서는 수상태양광·수열에너지 등 청정 물에너지 확산을 선도하며 RE100을 달성하고, 탄소중립 물관리 전환과 기후위기에 대응한 도시 모델 구축에 박차를 가할 것을 다짐했다.
사회(S) 차원에서는 스마트검침으로 취약계층에 사회안전망 서비스를 제공하고, 국민 눈높이에서의 물복지 향상을 추진하기로 했다. 지역민이 참여하는 사업을 발굴하고 코로나19로 어려운 지역사회에 소득 창출 기회를 제공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지배구조(G) 부분에서는 유역상생협력위원회·주민참여형 댐 홍수관리 소통 회의 등을 통해 국민과 협력하고, 이사회 내 ESG 경영을 정착시켜 실질적인 ESG 3.0을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박 사장은 “지난해 기후위기경영 선언에 이어 ESG 경영 도입은 기후위기 시대의 소명이자 기업 생존과도 직결되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물의 가치를 특화한 ESG 경영으로 국민 물안전·물복지를 책임지겠다”고 말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