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에너지솔루션(LGES)과 SK이노베이션(SKI)이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의 최종 결정에 대해 상반된 의견을 내놨다. SKI는 LGES의 합의금 요구가 과도해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냈다. LGES는 이를 두고 진정성이 결여된 것이라고 반박, 양측의 재개된 협상도 상당기간 답보 상태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11일 SKI에 따르면 이사회는 지난 10일 오후 사외이사 전원이 참석한 확대 감사위원회를 개최해 ITC 최종결정 검토 의견을 냈다.
감사위원회는 SKI가 글로벌 분쟁 경험 부족으로 미국 사법 절차에 대해 미흡하게 대처한 점을 강하게 질책하고 글로벌 소송 대응 체계 재정비, 외부 글로벌 전문가 선임 등 컴플라이언스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할 것을 주문했다.
최우석 SKI 이사회 대표 감사위원은 “소송의 본질인 영업비밀 침해 여부에 대한 방어의 기회도 갖지 못한 채 미국 사법 절차 대응이 미흡했다는 이유로 패소한 것을 매우 안타까운 상황”이라고 질책했다.
SKI는 이같은 이사회의 결정을 반영해 이른 시일 내 컴플라이언스 모니터링 체계를 고도화하기 위해 미국에서 외부 전문가를 선임하는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감사위원회는 LGES가 요구하는 합의금 제안을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했다. 감사위원회는 “사실상 SKI가 미국에서 배터리 사업을 지속할 의미가 없거나 사업 경쟁력을 현격히 낮추는 수준의 요구 조건은 수용 불가능할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
LGES는 이에 대해 “미국 연방영업비밀보호법에 근거한 당사의 제안을 가해자 입장에서 무리한 요구라 수용불가라고 언급하는 것도 어불성설”이라며 “문제해결에 대한 진정성이 결여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보톡스 합의사례와 같이 현금, 로열티, 지분 등 주주와 투자자들이 충분히 수긍할 수 있는 다양한 보상방법이 가능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LGES는 “공신력 있는 ITC에서 배터리 전 영역에 걸쳐 영업비밀을 통째로 훔쳐간 것이 확실하다고 최종결정이 났음에도 이를 인정하지 못하는 인식의 차이가 아쉽다”며 “증거를 인멸하고 삭제하고 은폐한 측에서 이러한 결정을 인정하는 것이 합의의 시작일 것”이라고 말했다.
재계에 따르면 양사 고위 임원은 지난 5일 서울 시내 모처에서 만나 협상을 재개했지만 합의금 규모에 대한 진전은 이뤄지지 않았다.
ITC는 지난 10일 SKI가 LGES의 영업비밀을 침해했다고 최종 결정하며 10년간 수입금지 명령을 내렸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다음달 11일 전 수입금지 명령에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으면 SKI의 미국 배터리 사업은 사실상 중단된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