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두고 “2019년 하반기 이후 그의 자기인식은 단지 문재인 정부의 고위 공무원이 아니었다”고 작심 비판하며 그를 ‘반문재인 야권 정치인’으로 규정했다.
조 전 장관은 9일 페이스북에 올린 장문을 통해 “윤 전 총장은 박근혜 대통령 시절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을 수사하려다가 불이익을 받았고 이를 계기로 소신과 용기 있는 수사로 박해를 받는 검사의 상징이 됐다”며 “박근혜 정부와 맞서 대중적 명망을 얻고 문재인 정부의 검찰총장이 되더니 문재인 정부를 쳐서 야권 대권후보가 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공무원인 윤 전 총장은 정치 참여를 부인하지 않았고 대권 후보 여론조사에서 자신의 이름을 빼달라고 공식 요청하지 않았다. 언제나 자신을 대통령과 대척점에 있는 존재로 인식하게 만드는 언동을 계속했다”며 “그러니 자신이 법무부 장관의 ‘부하’일 리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유례없는 검찰의 폭주를 경험한 여권이 2012년 및 2017년 대선 공약인 수사와 기소 분리를 실현하기 위해 ‘중대범죄수사청’ 신설을 준비하자 이를 빌미로 사표를 던졌다. 여야 격돌과 접전이 예상되는 서울 및 부산 시장 재보궐선거 한 달 전이었다”며 “사직 하루 전날 대구 지검을 방문해 ‘몇 년 전 어려웠던 시기에 저를 따뜻하게 품어준 고장이다. 고향에 온 것 같다’고 발언했다. 총장으로서 마지막 방문지를 대구로 선택한 것은 우연이겠느냐”고 반문했다.
조 전 장관은 “(윤 전 총장의) 사직의 변은 ‘자유민주주의 수호와 국민 보호’였다. ‘자유민주주의 수호’는 자신의 이념적 지향을 밝힌 것이고 ‘국민 보호’는 자신이 추구하는 미래 역할을 밝힌 것으로 들렸다”며 “누구 또는 무엇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겠다는 것인지는 모호했던바, 전형적인 정치인의 말투였다. 마지막까지 라임 수사 관련 룸살롱 향응을 제공받은 검사 건에 대한 사과는 없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검찰주의자’를 넘어 ‘정치 검사’의 행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일련의 행보를 직시하면서도 2019년 하반기 이후 윤 전 총장이 벌인 수사를 ‘살아있는 권력’ 수사라고 찬미할 수 있을까”라며 “공식적으로 지난 4일부터 윤 전 총장은 ‘정치인’이 됐다. 그 이전에는 자신을 단지 ‘검찰총장’으로만 인식하고 있었겠느냐”고 강조했다.
또 “두 명의 대통령을 감옥에 보낸 그는 어느 시점에 문 대통령도 ‘잠재적 피의자’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자신을 ‘미래 권력’으로 인식하기 시작했을 때부터였을 것”이라며 “이런 자기인식을 갖게 된 그는 문재인 정부를 ‘곧 죽을 권력’이라고 판단하고 자신이 지휘하는 고강도 표적 수사를 통해 정부를 압박해 들어갔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은가”라고 썼다.
마지막으로 “이제 확실히 그는 대통령을 꿈꾸는 ‘반문재인 야권 정치인’이 됐다. 언론은 철저한 검증은커녕 벌써부터 ‘윤비어천가’를 부르고 있다”며 “군사 쿠데타 이후 박정희와 전두환에 대해 각각 ‘박비어천가’ ‘전비어천가’를 부른 언론이었으니 기대할 것이 없다. 촛불 시민이 검증하는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