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에는 공무원 투기에 나선 공무원이 한 명도 없을까?
광주시가 정부에서 신규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한 산정지구에 대한 투기 의혹 조사에 나선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직원의 3기 신도시 투기 의혹에 따른 이번 조사는 산정지구와 함께 인공지능(AI) 집적단지가 들어설 첨단 3지구에서도 실시된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8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정부의 합동조사와 별개로 산정지구에 대한 전수조사를 해 불법 투기행위가 있었는지를 확인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5년간 근무한 광주시와 광산구 공직자의 사전 투기 여부를 들여다본다는 것이다. 당사자는 물론 배우자와 직계존비속도 포함한다.
이 시장은 만약 조사결과 위법행위 등이 확인되는 경우 법령에 따라 사법기관에 수사를 의뢰하는 등 엄중히 조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산정지구는 지난달 정부가 집값 안정을 위한 공공주도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의 후속 조치에 따라 신규 공공 택지지구로 발표한 곳이다.
행정부시장을 단장으로 감사위와 민생사법경찰과, 도시재생국, 광산구 등으로 꾸려질 조사단은 공무원과 가족들의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를 받아 토지 소유 여부를 확인하고 거래명세를 살펴보는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하게 된다.
시가 선제적 전수조사를 강행하는 것은 공직자들이 내부 정보 등을 이용해 부동산 투기를 하는 것은 절대 용납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시민들 사이에 폭넓게 퍼진 공무원들의 땅 투기 의혹을 씻고 사전 예방하는 차원에서 신속하고 철저한 조사를 펴기로 했다.
시는 68만 3000㎡(약 51만 평)에 1만 3000가구의 주택과 생활기반 시설, 자족 용지 등을 공급하게 될 산정지구에 대한 조사결과를 참고해 다른 개발사업으로 조사를 확대할지도 결정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시는 산하 최대 공기업인 광주도시공사도 AI 집적단지가 들어설 광산구 첨단 3지구 364만㎡(110만 평)를 대상으로 토지 소유자와 거래 현황 등을 통해 소속 직원들이 투기성 매매에 개입했는지를 자체 조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시장은 “현재까지 투기 의혹은 드러난 게 없지만, 시민들의 제보를 받아서라도 철저하게 시민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전수조사를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