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자발적 매춘부’라고 규정한 마크 램지어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의 역사 왜곡에 한국계 학생들이 직접 나섰다.
하버드대 한국계 학생들의 모임인 하버드 코리아포럼은 18일 인스타그램 등을 통해 19일 오후(현지시간) 하버드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위안부 문제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어폴로지’ 감상회를 연다고 밝혔다.
코리아포럼은 위안부 문제가 한국의 문제만이 아니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이 영화를 선택했다. ‘어폴로지’는 중국계 캐나다인 감독 티파니 슝이 지난 2016년 발표한 영화로 한국, 필리핀, 중국 등 3개국의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삶을 다뤘다.
또한 코리아포럼은 영화상영회 안내글을 통해 “진리가 널리 퍼지기 위해서는 교육과 인식이 하버드 대학과 세계 전역에서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하버드대에서 심리학을 전공하는 노연지씨는 “심각한 역사 왜곡을 바탕으로 한 논문 게재는 학문적 자유라는 이름으로 보호되기 어렵다”고 지적하면서 “코리아포럼은 램지어 교수의 발언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한편 영화 상영 전에는 토드 헨리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UC샌디에이고) 역사학과 부교수와 김현정 ‘배상과 교육을 위한 위안부행동(CARE)’ 대표 등 전문가를 패널로 초청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의견을 듣는다.
헨리 교수는 일제가 추진한 경성 도시계획을 분석한 저서 ‘서울, 권력 도시’로 국내에서도 잘 알려진 일제강점기 전문가다. 김 대표는 최근 하버드대 로스쿨 학생들이 주최한 온라인 토론회에 참석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 할머니의 통역을 맡았다.
노유림 인턴기자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