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북 제천시가 이미 수년 전 일부 지자체가 사업 효과가 미미해 중단했던 생활폐기물 종량제 봉투 상업광고 게재 사업을 추진해 벌써부터 실효성 논란이 일고 있다.
제천시는 지역에 입주한 기업체 홍보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생활폐기물 종량제 봉투 상업광고 게재 사업을 벌인다고 8일 밝혔다.
상업 광고는 식당 등 지역 모든 사업체를 대상으로 10ℓ, 20ℓ, 50ℓ 소각용 종량제 봉투 뒷면 전체에 게재된다. 조례를 근거로 20ℓ 쓰레기봉투 10만장에 광고를 실을 경우 사업자가 부담할 광고료는 110만원이다.
시는 분기별로 상업광고를 실은 종량제 봉투를 제작·판매하기로 하고 광고주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오는 4월부터 시판하는 생활폐기물 종량제봉투 뒷면에 지역 내 희망 사업체의 광고가 게재된다.
시는 한해에 20개 정도의 광고주를 유치해 연간 2000만원 정도의 수입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렴한 비용으로 지역 사업체도 홍보하고 세외 수입도 올릴 수 있는 1석 2조의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제천 쓰레기 종량제 봉투 판매량은 지난해 기준 연간 700만장에 이른다.
시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어려워진 제천 지역 사업체 지원을 위한 특수시책”이라면서 “쓰레기봉투 광고는 기업과 소상공인들의 효과적인 홍보 수단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종량제 봉투의 상업광고는 광고효과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난관에 봉착할 것이라는 의견이 많고 광고주 모집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 시책은 일부 지자체가 수년 전에 추진했다가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도 용인시가 지난 2012년 시행했던 쓰레기 종량제 지역업체 상업 광고는 희망업체가 없어 유명무실한 시책으로 전락됐다. 용인시는 당시 업체 2곳에 20ℓ 종량제 봉투 100만장의 광고료 600만원을 유치하는데 그쳤다.
용인시 관계자는 “종량제 봉투 광고 게재 사업은 당초 사업 계획 보다 실적이 적어 1년 만에 중단된 시책”이라고 전했다.
1996년 종량제 봉투에 광고를 게재했던 것으로 알려진 대전 대덕구 역시 현재 봉투에 광고를 게재하지 않고 있다. 다만 대덕구 조례에는 종량제 봉투에 광고가 가능하다고 명시돼 있다.
대덕구 관계자는 “너무 오래 전 일이라 광고가 언제, 왜 끊겼는지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면서도 “종량제 봉투라는 특성 상 광고 효과가 크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광고주를 모집하기 쉽지 않으니 조용히 없어졌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제천.대전=홍성헌 전희진기자 adh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