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오염배출원 비중이 큰 기존 제조 공장을 친환경 공장으로 탈바꿈하는 기업 30곳을 선정해 10억원씩 지원한다. 환경부는 친환경·저탄소형 제조공장으로 녹색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303억원 규모의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을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제조공장을 소유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2월 8일부터 3월 16일까지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 지원기업 선정 공고를 진행한다”며 “사전서면평가, 현장확인, 발표평가 및 최종선정평가를 거쳐 총 30개사를 선정한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그린뉴딜 3대 분야 중 하나인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을 위해 지난해부터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오염물질 배출 저감, 온실가스 저감, 자원·에너지 효율화, 스마트시설 도입 등 종합적인 친환경‧저탄소 설비 개선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기존 오염물질 방지시설 설치사업은 제조공장에서 발생하는 대기·수질 등 매체별 오염물질 저감·사후관리를 위한 단편적인 설비 개선을 지원했다. 반면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사업은 친환경 생산부터 오염물질 관리·온실가스 저감·자원순환 관리·에너지 관리·스마트 운영 관리까지 종합적인 설비개선 자금을 지원해 친환경 제조공장으로 신속히 전환하도록 돕는다.
환경부는 지난해 스마트 생태공장 지원 기업으로 11곳을 선정했다. 올해는 30곳, 내년에 59곳 등 3년간 총 100개사를 선정·지원할 계획이다. 올해 정부 지원금은 303억원이 확정됐으며, 선정 기업은 친환경‧저탄소 설비 구축 투자비의 최대 60% 이내에서 10억까지 정부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선정 기업이 관계부처 협업사업인 산업통상자원부의 클린팩토리 구축·지원 사업과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신청하면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다. 김동구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기후변화와 환경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제조공장의 친환경·저탄소 녹색전환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