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로 비대면 거래가 증가하면서 제주에선 비상품감귤 택배 거래 단속이 새로운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지난 10월 예년보다 낮게 출발한 감귤 거래가가 이번 주 들어 회복세로 이어짐에 따라 행정에선 저품질 감귤 거래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주도는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거래 물량 급증으로 택배취급소를 찾아 비상품감귤 출하 자제를 위한 지도와 특별단속에 나섰다고 24일 밝혔다.
도는 제주시와 서귀포시 지역에 16개 택배 단속반을 구성하고 농가 택배 작업현장과 온라인 거래 전문 선과장, 농산물 직판장, 온라인 쇼핑몰 등을 대상으로 12월말까지 집중 단속을 벌이고 있다.
도가 택배 단속반을 꾸린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소비 감소로 감귤 거래가가 낮아 농민들이 어려움을 겪는 와중에 코로나19로 비대면 거래가 크게 늘면서 비상품 감귤 거래 단속 범위를 택배 물량까지로 넓힌 것이다.
그러나 개별 농가에서 암암리에 택배 발송하는 경우까지 적발하기는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도는 노지감귤 수확이 마무리되는 1월 하순까지로 점검기간을 확대해 비상품 감귤 택배 거래를 계속해 단속해나갈 방침이다.
단속을 강화하면서 현재까지 확인된 비상품 감귤 유통 단속 실적은 136건 139t으로 지난해 74건 36t보다 크게 늘었다.
이처럼 제주도가 비상품 단속에 행정력을 투입하는 것은 맛이 없고 규격이 작은 저급품 감귤이 다수 유통될 경우 감귤 가격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올해 제주산 노지감귤의 도매시장 평균 거래가는 5㎏ 기준 6000원대 초반에서 12월 초 5000원대 후반까지 떨어졌다. 초기 수확 감귤에서 산도가 높았던 데다 코로나19로 각종 행사가 취소·축소되면서 소비처가 대폭 줄어든 탓이다.
그러나 중반기에 들며 당·산도가 조화된 고품질 감귤 생산이 늘고 행정이 유통 물량을 조절하면서 감귤 거래가는 최근 6900원까지 상승했다.
전병화 농축산식품국장은 “저급품감귤 유통 차단이 감귤 가격을 회복하는 유일한 길”이라며 “택배 전담반을 택배 출하 현장에 투입해 비매품 유통 단속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