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이 지난달 중국 당국에 불려간 자리에서 핀테크 계열사인 앤트그룹 일부를 국유화하는 구상을 제시했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금융당국을 공개 비판해 눈 밖에 난 마윈이 화해의 제스처를 취했지만 틀어진 관계를 회복하지는 못했다는 것이다.
WSJ에 따르면 마윈은 지난달 2일 인민은행·증권감독관리위원회·은행관리감독위원회·외환관리국 등 4개 기관과의 ‘예약 면담’에서 “국가가 필요로 한다면 앤트그룹이 보유한 플랫폼의 어떤 부분이라도 내줄 수 있다”고 말했다. 예약 면담은 당국이 감독 대상 기관이나 기업 관계자들을 불러 시정 및 요구 사항을 전달하는 자리다. 마윈이 지난 10월 말 상하이 금융서밋 연설에서 당국의 보수적인 감독 정책을 비판한 이후 소환됐기 때문에 일종의 군기 잡기로 해석됐다.
중국 당국은 마윈과의 면담 직후 11월 5일로 예정됐던 앤트그룹의 홍콩 및 상하이 증권거래소 상장을 돌연 중단했다. 공모주 청약에만 2조8000억달러(약 3178조원)가 몰린 역사상 최대 규모의 기업공개(IPO)가 실현 직전 불발된 것이다. 중국 정부는 이후 알리바바와 텐센트에 반독점법 규제를 적용해 벌금을 물렸고, 거대 정보기술(IT) 기업을 겨냥한 규제 강화 정책도 잇따라 발표했다.
중국 정부가 IT 기업 규제에 속도를 내는 건 마윈에 대한 옥죄기 이외에도 그간 느슨한 규제 속에서 급속히 성장한 기업들이 통제 불가능한 상황이 오기 전 제동을 걸겠다는 의도도 있다는 평가다.
마윈의 앤트그룹 지분 넘기기 제안이 완전히 묻힌 건 아니다. 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마윈의 제안을 받아들일지 현재로선 결정된 바 없다고 전했다. 대신 중국 당국이 앤트그룹에 대해 자본과 레버리지 규제를 강화하는 방안이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규제 강화로 앤트그룹이 자본 부족에 처하면 국유 은행이나 다른 기관 투자자들이 앤트그룹의 지분을 사들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베이징=권지혜 특파원 jhk@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