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다중·취약계층 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강화한다

Է:2020-12-17 08:16
ϱ
ũ

하버드대, 초미세먼지 농도 ㎥당 1㎍ 증가 인구 100만명 당 사망률 11% 증가


경기도가 내년 3월까지 추진되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 동안 특히 다중시설과 건강 취약계층 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을 강화키로 했다.

실내공간의 많은 미세먼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감염률을 높일 수 있고 일반인보다 건강이 취약한 어린이, 노인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우선적인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경기도는 우선 이달부터 지하역사, 터미널 등 다중이용시설 570 곳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관리실태를 집중 점검한다고 17일 밝혔다.

많은 이용자들이 모이는 지하역사, 버스터미널, 지하상가, 대규모 점포 등을 중심으로 환기 및 공기정화장치 가동실태와 실내공기질 자가측정 여부 등을 확인한다.

실내공기질 관리법에서 정한 ‘의무 유지항목’인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 (CO2), 포름알데하이드(HCHO), 총부유세균(TAB; Total Airborne Bacteria) 등 총 6가지 항목을 검사하게 된다.

이어 어린이, 노인 등 건강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과 의료기관, 일정규모 이상의 키즈카페 등을 점검하게 된다.

다만 이들 취약계층 이용시설에 대한 점검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고려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1.5단계 이하로 완화되면 진행된다.

도는 지난 4월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당 1㎍이 증가할 때 인구 100만명 당 사망률이 11% 증가한다며 오염도 검사결과, 실내공기질 기준을 초과한 시설에 대해서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과 협력해 ‘실내공기질 정밀진단 컨설팅’도 병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양재현 도 미세먼지대책과장은 “고농도 미세먼지와 난방, 겨울철 실내활동 증가로 실내공기질 관리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도민들이 보다 안심할 수 있는 실내 공기 환경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최근 ‘수원 서호노인복지관’ 등 5개 노인복지관을 ‘으뜸 맑은 숨터’로 조성했다.

이들 시설은 지난 2006년 이전에 건립돼 실내공기 오염도가 높은 곳으로 환경·건축전문가의 정밀진단을 통한 친환경 벽지·장판 교체, 공기청정기와 자외선 멸균장치, 심리적 안정을 돕기 위한 실내 수직정원 등이 설치됐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