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 철새 분변 AI 확진→농장 발병’ 공식 떨쳐내지 못했다

Է:2020-11-29 16:03
:2020-11-29 16:08
ϱ
ũ

농식품부, AI 대응 ‘심각’ 단계로 격상…비상 상황 돌입
철새 분변서 고병원성 AI 확진하면 농장 나오는 공식 이번에도 들어 맞아


2년 8개월간 유지해왔던 조류 인플루엔자(AI) 청정국의 위상이 무너졌다. 농식품부는 전북 정읍시 소재 육용오리 농장에서 고병원성 AI 발생이 확인됐다고 지난 28일 밝혔다. 야생 철새 분변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인되면 가금류 농장에서도 발병한다는 공식이 이번에도 어김없이 작동했다. 방역 당국은 추가 발병을 막기 위해 최상위 경계 태세를 가동하며 대응에 나섰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대유행을 예고하는 폐사체가 나오기 전에 발병이 확인됐다는 점이다.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9일 “27일 오리를 출하하기 전 실시한 검사에서 고병원성인 H5형 항원이 검출됐다”며 “검사 결과 H5N8형 AI 확진이 판명됐다”고 말했다.

의심 사례가 나온 시점부터 방역 체계가 가동됐다. AI 위기 경보를 최상위 단계인 ‘심각’ 단계로 끌어올리고 대응하기 시작했다. 일단 해당 농장 내 1만9000마리의 오리를 즉시 살처분하고 반경 3㎞ 이내 6개 농가 39만2000마리까지 예방적 살처분을 마쳤다. 28일 0시부터 29일 자정까지는 전국 가금류 농장 및 축산차량에 이동중지명령(스탠드 스틸)도 발동했다. 전북도 내 가금류 농장의 경우 보다 강도 높은 조치가 취해졌다. 향후 일주일간 이동이 금지된다. 사람을 통한 전파를 차단하려면 불가피한 조치다. 이와 함께 전국 단위로 소독을 실시하고 예찰 작업에도 착수했다.

AI 발생 원인을 찾기 위한 역학조사에도 돌입했다. 농식품부는 아직 조사 결과를 말하기는 이른 시점이지만 야생 철새가 AI 옮겼을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보고 있다. 야생 철새 분변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인되면 농장에서도 100% 발병했다는 축적된 경험이 근거로 작용했다.

이번 발병 사례도 지난달 21일 철새 도래지인 충남 천안시 동강천에서 고병원성 AI에 감염된 분변이 발견한 후 36일만에 나왔다. 야생 철새 분변에서 저병원성 AI만 확인됐던 2018년 겨울이나 지난해 겨울과는 달랐다는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러시아에서 중국을 거쳐 남하한 철새들이 AI를 옮겼을 가능성이 유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