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형 산림뉴딜 전략인 ‘K-포레스트 추진계획’을 발표한 산림청이 내년 사람 중심으로 산림정책을 혁신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산림청은 수요자 중심의 산림정책을 추진하는 한편 국민 참여를 기존보다 더욱 확대한다고 25일 밝혔다.
지난 7월 K-포레스트 추진계획을 발표한 산림청은 ‘숲에서 찾는 새로운 일상’이라는 비전 아래 4대 뉴노멀 전략을 수립했다.
올해 산림정책 혁신 방안에는 경제림 육성·융자지원 확대 등 임업인에 대한 지원 강화 방안, 도시민이 생활권에서 숲을 이용토록 하는 대책 등이 포함됐다. 산림 혜택을 온 국민이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다수 추진되고 있다.
산림의 사회적 가치 확산의 대표 사례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인력·피해자들의 심리 회복 정책이 꼽혔다.
이들의 심리 회복 지원을 위해 다부처 협력에 착수한 산림청은 자가격리 대상자 2000여명에게 반려식물 보급을 완료했다.
코로나19 대응인력의 심리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가든 설치 사업도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코로나19 대응 공공의료기관 40개소에 25㎡ 이하 규모의 큐브형·벽면형 실내 정원을 보급하는 사업이다.
각 사업이 산림을 활용한 재난심리회복 지원의 성공 사례인 만큼, 향후 재난 발생 시에도 대국민 산림치유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산림청은 내다보고 있다.

각종 공모전을 통한 산림 정책의 국민 참여 확대, 수요자 중심의 정책 마련 기회도 제공했다.
산림청은 공모를 통해 ‘2020년 산림청 대표 국민디자인 과제’를 5개 선정했으며, ‘도전·한국’ 국민아이디어 공모에서도 소각산불 관련 공모과제를 선정했다.
또 정부혁신 우수사례, 혁신 홍보 영상 등 주요 정책의 평가·심사 시 ‘365국민평가멘토단’을 활용하며 국민 참여의 폭을 넓히고 있다.
신기술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공공서비스 개선도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속도가 생명인 산불 정보의 경우 모바일로 빠르게 제공하고 있으며, 국가위험시설 관련 정보도 구축해 대형산불 확산 등 2차 피해를 예방하고 있다.
최근에는 임업인 농업경영체 증명서의 온라인·모바일·무인민원 발급 서비스도 시작하며 대국민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이밖에 모바일을 활용한 산림조사, QR코드를 활용한 고사목 이력 관리 도입 등 행정업무 전반에도 디지털 혁신이 진행 중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내년에도 K-포레스트 추진계획을 지속적으로 이행하고 사람 중심의 산림정책을 추진할 것”이라며 “첨단 기술의 과감한 도입 및 국민 참여 확대를 통해 수요자들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구현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