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이란 명칭의 새 대학 재정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학 대여섯 곳을 묶어 인공지능(AI)이나 빅데이터 같은 신기술 분야 공동교육과정을 개설하고, 학생들은 전공과 관계없이 교육과정을 이수해 학위를 취득토록 하는 사업이다.
개별 대학의 모집단위(학과·학부)를 중심으로 하는 인재양성 체계로는 급변하는 신산업 분야의 인력 수요를 감당키 어렵다는 이유로 추진되는 사업인데 교수 사회의 반발이 주요 변수라는 관측이 나온다.
교육부가 24일 공개한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개요(안)’에 따르면 정부가 책정한 예산은 1048억원이다. 사업관리에 16억원을 쓰고 나머지 1032억원을 신기술분야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투입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국회에서 심사가 진행되고 있어 확정된 금액은 아니다”고 말했다.
참여를 원하는 대학은 다른 대학들과 그룹을 구성해 지원해야 한다. 교육부는 그룹별로 대학(전문대 포함) 6곳 정도를 적정 수준으로 제시했다. 대학 그룹들이 신기술 분야 중 하나를 골라 사업 계획서를 제출하면 정부가 평가·선정한다. 정부가 제시한 신기술분야는 AI, 빅데이터, 차세대 반도체, 차세대 디스플레이, 사물인터넷, 증강·가상현실, 미래자동차 등 21개다. 사업 기간은 6년으로 3년간 지원 받고 중간평가를 거쳐 3년을 연장하는 방식이다.
교육부가 노리는 효과는 대략 두 가지다. 먼저 각 대학에 흩어져 있는 신기술 분야 교육 인프라를 모아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이다. 여러 대학이 참여하므로 온라인 강의를 기반으로 교육과정이 운영될 예정이다.
두 번째는 학과 장벽을 낮추는 것이다. 과거에도 신산업 인력 수요에 대응해 학과를 구조조정하려는 사업(프라임 사업 등)이 있었다. 그러나 교수사회의 저항에 부딪혀 성과를 내지 못했다. 그래서 이번에는 반발이 큰 정원 감축이나 통·폐합 같은 구조조정 대신 학사제도를 유연화하는 ‘우회로’를 택했다. 교육부는 2017년 ‘다학기제, 집중학기제, 공유(융합)전공, 마이크로디그리’ 도입을 골자로 하는 ‘학사제도 유연화’ 조치를 했기 때문에 학과 정원에 손대지 않고도 신산업 분야 인재 양성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전공 불문이기 때문에 문학·사학·철학 같은 인문학 전공자도, 언론정보학 같은 사회과학 분야 학생도 첨단 분야 학위에 도전할 수 있다. 기존 전공과 신산업 분야를 융합해 학위를 업그레이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회복지학과라면 빅데이터 공동교육과정을 이수한 뒤 ‘사회복지학 빅데이터 연계전공’ 학위를 받거나, 언론정보학이라면 언론환경에 인공지능을 가미한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공동교육과정을 활성화하려면 기존 학과의 전공필수 학점은 줄여줄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 “전통 학문 분야가 무조건 소외되지는 않을 것이다. 예컨대 AI 교육과정에서도 윤리나 철학 등은 꼭 필요한 영역”이라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