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이틀째 300명을 넘겼다. 정부는 가파른 환자 증가세가 이어질 경우 추가적인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을 신중하게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19일 “수도권 주 평균 일일 확진자가 200명을 넘으면 2주가 지나기 전에도 거리두기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7일 정부는 서울·경기도 등에 이날부터 1.5단계를 적용하겠다며 이후 2주의 시간을 두고 격상 효과를 평가하겠다고 했다.
다만 신중한 태도도 이어갔다. 기존 조치의 효과를 두고 보지 않은 상황에서 격상을 서두르면 실익이 크지 않다는 것이다. 중수본 관계자는 “지난 8월에 충분한 관찰 없이 2.5단계 거리두기를 시행했다가 서민경제에 불필요한 어려움을 끼쳤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343명의 신규 확진자가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국내 발생은 293명이었고 이 중 177명이 수도권에서 나왔다. 비수도권 확진자는 116명으로 지난 8월 27일 이후 첫 100명대를 기록했다.
신규 감염은 시설과 모임을 가리지 않고 속출했다. 연세대 소모임과 관련해 지난 16일 이후로 12명의 누적 확진자가 발생했다. 종교시설, 동창 골프 모임, 체육시설, 노래방, 아이돌보미 관련 집단감염 등도 잇따랐다. 서울·경기도, 강원도 철원, 광주 이외에 경남 하동, 전남 목포, 무안군 삼향읍도 이날 거리두기를 1.5단계로 격상했다.
방역당국은 최근 들어 확산 속도와 양성률이 예상을 크게 뛰어넘고 있다고 평가했다. 감염재생산지수는 이날 기준으로 1.5를 웃돈다고 했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최근 1주간 100만명당 환자 발생 비율이 가장 낮은 3개국의 하나”라면서도 “최근의 증가세는 분명 우려스럽다”고 했다.
정부는 국민들의 자발적 협조를 재차 호소했다. 약속과 모임은 취소하고 헬스장·사우나 등 밀폐된 다중이용시설의 방문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증상이 있는 경우엔 불이익에 대한 걱정 없이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주변 사람들의 배려가 필요하다고도 당부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