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노총이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인 ‘타다(VCNC)’의 대리운전 시장 진출에 공식 반대하고 나섰다. 타다 역시 앞서 사업을 벌인 카카오모빌리티처럼 대리운전 노동자들의 생존권을 위협할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한국노총은 14일 기자회견을 열고 “혁신을 빌미로 각종 규제를 피해 불공쟁 경쟁으로 이윤을 확대해 온 타다의 대리운전시장 진출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대리운전 기사들은 산재보험을 거의 적용받지 못한다”며 “정부가 참여하는 사회적 대화기구를 구성해 노동자 보호에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 6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회견에는 한국노총 산하 한국노총전국연대노조와 한국대리운전협동조합, 플랫폼프리랜서노동자협동조합협의회 등이 참석했다.
모두발언을 맡은 이상국 한국대리운전협동조합 총괄본부장은 “대리운전 노동자들은 이미 카카오모빌리티를 통해 고통을 받은 선례가 있다”고 했다. 그는 “카카오는 당초 이뤄졌던 사회적 약속을 깼다”며 “운전기사들의 영업수수료를 20%로 높게 유지하고 무료라고 약속했던 프로그램 사용료와 보험료도 결국 거둬들이고 있다”고 비난했다. 지난 4월 일방적인 택시 사업 철수로 노동자들의 일자리를 없애버린 타다 역시 카카오와 같은 전철을 밟게 될 것이라는 의미다.
노동계의 반발에 부딪힌 타다는 또다시 사업 확대에 큰 걸림돌을 만나게 됐다. 타다 관계자는 “구체적인 사업 가이드라인도 나오지 않은 상태인데 대리운전 기사를 모집하는 것만으로 (한국노총에서) 넘겨짚는 부분이 많은 것 같다”며 “아직 따로 드릴 말씀은 없다”고 말했다.
한국노총은 이날 한국노총전국연대노조 공식 출범식도 가졌다. 전국연대노조는 기존에 한국노총에 가입돼 있었으나 파편화돼 있던 플랫폼 노동자와 각계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조직화하기 위해 지난달 설립됐다.
노동계 안팎에서는 한국노총이 민주노총 견제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은 지난해 ‘플랫폼노동연대’를 출범시키고 각종 포럼도 개최하는 등 플랫폼 노동자 조직화에 힘을 쏟고 있다.
최지웅 기자 wo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