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역당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진단 검사 수를 조절해 일일 신규 확진자 수를 임의로 조정한다는 일각의 의혹 제기에 대해 “그런 개념 자체가 없다”고 일축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15일 정례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해당 의혹에 대한) 질문 내용은 처음 봤는데 저로서는 좀 충격”이라며 “‘필요할 때 검사를 늘린다’ 이런 개념 자체가 질병관리청의 머릿속에, 가슴속에 전혀 있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국민의힘 윤희숙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주말에는 검사 인력이 줄어 검사 수가 감소하는데도 마치 방역의 성과가 나타나 확진자 수가 감소하는 식”이라며 “그러니 필요할 때 검사를 늘려 공포를 조장한다는 의심이, 정부가 다른 목적에 이용한다는 의심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국민 1440명을 대상으로 한 2차 항체 조사에서 단 1명(0.07%)에게서만 항체가 발견됐다는 방대본의 발표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권 부본부장은 “방역당국은 과학과 근거, 있는 그대로의 상황을 토대로 항상 전문가들의 의견을 듣고 있다. 또 어떻게 하면 코로나19를 최대한 억제·차단하고 국민의 건강을 지키고 치명률을 낮추고 희생을 최소화하느냐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물론 일부에서 항체가조사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시고 의문을 표시하실 수는 있다고 봅니다만 저희로서는 최대한 있는 그대로 설명을 드리고 있다”며 “인구집단 1만명과 군 입대자에 대한 조사가 남아 있고, 대구·경산 지역 3천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가 9월 하순에서 10월 초에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 항체 보유율 조사도 공표한 대로 시행해 사실 그대로, 또 근거에 입각해 방역 대책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권 부본부장은 또 “(현 검사 방식으로는) 양성 1건을 확인하는데 약 5일 정도가 소요되는데 이를 수천 건, 1만 건 이렇게 한다는 것은 물리적·시간적으로 불가능하고 이에 일종의 선별적 개념으로 항체가 조사를 시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다른 국가에 비해 유병률이 낮은 점을 고려해 전체 인구의 대표성을 지닌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보다 정밀한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권 부본부장은 “혹여라도 당국에 대해 조금이라도 오해가 있는 사람이 있다면 언제든 추가 설명해 드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