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지역 농업용 저수지 10곳 중 7곳이 축조한 지 70년 이상 지나면서, 국지성 집중호우 등으로 인한 다양한 위험 요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는 강서구와 기장군, 금정구 등 지자체가 관리하는 농업용 저수지를 안전 점검을 진행해 위반사례 20건을 적발해 시정 조치했다고 11일 밝혔다.
부산지역에는 농업용 저수지가 92곳 있다. 이 가운데 운영한 지 70년이 넘은 저수지만 67곳(73%)에 달한다. 10곳 중 7곳이 노후 저수지인 셈이다. 대부분 흙으로 쌓아 만든 토사 댐으로, 노후화가 심각해 장마 때 비가 쏟아지면 붕괴 위험이 크다.
부산에는 저수지 비상대처계획(EAP) 수립 대상인 30만㎥ 이상 저수지는 없고 5만㎥ 미만의 소규모 저수지가 88곳(96%)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안전점검 결과 A등급(우수) 14곳, B등급(양호) 32곳, C등급(보통) 45곳으로 나타났고 D등급(미흡) 1곳은 주요부재에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돼 긴급 보수·보강토록 조치했다.
현재 저수지 92곳 가운데 54곳은 더는 농업용수 기능을 하지 않고 있다. 노후화 등으로 사용은 하지 않으면서 시민 안전만 위협하고 있어 매년 응급조치에 국한된 시설 관리를 해 온 셈이다.
특히 저수지 붕괴는 피해 범위가 넓어 시설관리에 전문성이 필요하나 비전문 담당자를 지정해 운영업무가 미숙했고 부서 내 기피 업무로 취급하는 등 안전한 시설관리에 한계를 이번 점검에서 확인했다. 부산시 측은 “구·군 저수지 업무 담당자가 시설관리를 위해서는 전반적인 역량 강화가 필요해 보인다”고 전했다.
시는 또 현 재난 대응 지침에는 저수지 하류 지역 마을주민들의 주민안전 행동 요령을 저수지 수위를 보고 판단·대응토록 함에 따라 폭우가 쏟아질 경우 최초 확인자가 정확한 수위를 파악해 효율적으로 재난에 대처할 수 있도록 저수지 진입부에 수위계(최고수위, 홍수위, 최저수위)를 설치토록 관할 구·군에 요청했다.
아울러 기능이 상실된 저수지, 안전사고 우려 저수지에 대해서는 구·군과 함께 다양한 저수지 활용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