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정부와 의회가 6일(현지시간) 중국 기업을 미국 시장에서 사실상 퇴출하는 조치를 잇따라 발표했다. 앞으로 미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중국 기업 중 미국의 회계감사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기업은 상장이 폐지된다. 또 ‘틱톡’과 ‘위챗’을 소유한 중국 기업과의 거래도 금지될 전망이다.

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과 제이 클레이튼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은 미국의 회계감사 기준을 지키지 않는 기업의 미 증권거래소 거래를 금지하는 권고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뉴욕 증권거래소와 나스닥 증권시장에 상장된 중국 기업들은 2022년까지 미국의 회계감사 기준을 따르거나, 상장 폐지를 감수하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회계감사 기준을 준수하려면 중국 회계 감사관은 기업에 대한 보고서를 미 정부의 감독 기관인 회계감독위원회(PCAOB)와 공유해야 한다. 미 증시에 새로 진입하려는 중국 기업에도 같은 기준이 적용된다.
므누신 장관은 “권고안은 투자자를 보호하고 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기업의 경쟁 수준을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미 상원은 지난 5월 미 상장기업이 회계감독위원회의 회계감사를 3년간 통과하지 못하면 상장을 금지하는 내용의 외국기업 책임법을 통과시켰다.
미 정부의 이러한 조치는 최근 전방위로 진행 중인 대중 공세의 일환이다. 미 정부는 중국 기업이 소유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틱톡의 이용자 정보가 중국 공산당에 넘어갈 수 있다며 미국 사업을 매각하도록 했다.

이런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이날 틱톡과 위챗을 소유한 중국 기업과의 거래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위챗과 그 모회사인 텐센트, 틱톡과 그 모회사인 바이트댄스 등과의 거래를 전면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행정명령 발효 시점은 틱톡의 미국 사업 인수 마감일로 제시한 9월 15일이다.
이날 미 상원에서는 연방정부 공무원이 정부에서 지급받는 휴대전화에 틱톡을 다운로드받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이 만장일치로 통과됐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