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첨단 인공지능(AI) 기술을 행정에 도입한 관세청과 과학도시 대전이 ‘디지털 뉴딜사업’의 실현을 위해 손을 잡았다.
대전시와 관세청은 5일 오후 2시 대전테크노파크 디스테이션(D-Station)에서 ‘디지털 뉴딜사업과 지역발전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AI스타트업 육성,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중장기 연구개발사업(R&D), 민·관·학·연 공동 연구 등을 협력하기로 했다.
시는 먼저 대전 테크노파크 사무실을 실증랩 공간으로 관세청에 무상 제공하고, 이와 별도로 AI 비즈니스 창출을 위한 커뮤니티 센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커뮤니티 센터는 AI 전문가들의 교류·세미나 등 AI 산업이 연결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관세청의 AI랩실은 274㎡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166㎡규모인 AI 창업 교류·공간은 내부에 커뮤니티홀과 회의실, 업무공간 등이 들어선다.
관세청은 향후 물류·보안 분야 신기술을 상용화한 스타트업 기업의 육성을 지원한다. 특히 관세청이 보유한 방대한 양의 관세·물류 데이터를 활용해 빅데이터, AI 등 신기술 분야 전반에 대해 시와 협력하게 된다.
양 기관은 이밖에 인공지능 전문기업을 발굴하고, 각 기업에 대한 시제품 개발도 지원할 계획이다.
노석환 관세청장은 “4차 산업혁명 특별시인 대전시는 전문 연구인력 등 국내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갖춘 도시이고, 관세청은 행정현장에 AI 기술을 접목해 실제 활용하는 디지털 행정의 선도기관”이라며 “이번 업무협약은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디지털 뉴딜사업의 성공을 위해 협업하는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대전은 지난 5월 ‘대전 인공지능 전략’을 마련해 정부의 디지털 뉴딜사업을 녹여낼 토대를 마련했다”며 “이번 관세청 뉴딜사업을 성공 모델로 만들어 다른 정부기관들과도 다양한 협업을 이뤄내겠다”고 했다.
관세청은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불법복제품 판독 인공지능 기술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이 사업은 디자인권 위조 상품을 AI로 판독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핵심이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