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에서 개발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국내에 수입되더라도 일정 기간 시판 후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백신개발에 시간이 단축될 순 있어도 실제 예방접종이 상용화되기까지 추가적인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31일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코로나19 백신, 글로벌 개발 동향 및 확보전략’을 주제로 개최한 헬스케어 미래포럼에서는 코로나19 백신에 관한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이 제기됐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암관리학과 교수는 “먼저 테스트를 한 다음에 접종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모더나가 18~65세까지만 (임상시험을) 했다 하면 한국에서 수입했을 때 그 연령이나 그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것인지 논의가 필요하다”며 “백신을 맞으면 코로나19에 감염이 과연 안 되는지, 감염됐을 때 바이러스 배출량을 줄여서 전파를 덜 시키는지, 감염됐을 경우 중증도를 낮춰서 사망을 줄이는지 등 어떤 효과를 보였는지 결과가 있어야 하는데 지금의 속도를 보면 그런 결과가 나오기 전에 백신을 생산하고 판매하고 접종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그는 “수입한 나라에서 예방접종을 한 사람을 대상으로 시판 후 조사(PMS)를 하면서 3단계 임상시험처럼 효과 평가 연구도 같이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 교수는 또 코로나19 백신이 국가 예방접종이 되려면 시스템 개선도 필요하다고 봤다. 그는 “국가 예방접종을 하게 되면 정보는 질병관리본부 데이터베이스에 들어가게 되고 환자 정보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있게 된다. 보통 백신 효과를 평가·연구하려면 그 두 가지를 합해야 하는데 연구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건보공단 자료에 바로 예방접종 자료가 들어가서 실시간으로 환자가 과거에 어떤 기저질환이 있었고 접종 후에 그 질병이 심해지는지, 혹은 코로나19에 정말 안 걸리는지, 부작용은 없는지, 백신 때문에 코로나19에 더 잘 걸리거나 위험이 커지지는 않는지 등에 관한 연구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논의 중인 백신 투약 우선순위에 대한 고민도 나눴다. 최원석 고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확보 가능한 물량의 단계에 따라서 접종에 대한 전략이 달라져야 한다”며 “초기에는 의료체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조금 더 많은 양이 확보되면 피해 최소화와 중증도를 낮추는 것, 그다음은 유행 차단이 목표가 되는 등 전략적, 단계적인 목표가 있으면 좋을 것”이라고 전했다.
기모란 교수도 “백신은 우리가 개발해서 쓰는 것보다 결국 수입해서 쓰게 될 텐데 미국에서는 이미 4월에 코로나19 백신 워킹그룹 41명정도 참여해서 시작했다”며 “역학, 임상, 실험자 외에 소아학, 노인학, 산부인과학, 철학과 형평성, 평등에 대한 문제에 다양한 분야의 사회학적 연구자들 참여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그런 워킹그룹이 빨리 시작이 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