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이 21일 또 만났다. 지난 5월 배터리 생산 현장에서 만난지 두 달만이다. 잇단 회동으로 미래 모빌리티 시대 대비를 위한 양사의 협력 분위기도 무르익고 있다. 전기차 시대에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할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속도가 붙을지 관심을 모은다.
삼성전자와 현대차는 이 부회장 등 삼성 경영진이 이날 오전 경기도 화성에 있는 현대·기아차 남양기술연구소를 방문해 정 부회장 등 현대차그룹 경영진과 미래 자동차 및 모빌리티 분야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 부회장의 연구소 방문은 정 부회장이 지난번 삼성SDI 천안사업장을 방문에 대한 답방 형식으로 이뤄졌다.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 전영현 삼성SDI 사장, 강인엽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사장, 황성우 삼성종합기술원 사장 등이 이 부회장과 동행했다. 현대차에선 정 부회장을 비롯해 서보신 현대·기아차 상품담당 사장, 박동일 연구개발기획조정담당 부사장 등이 삼성 경영진을 맞았다.
이 부회장 등은 차세대 친환경차와 도심항공 모빌리티(UAM·Urban Air Mobility), 로보틱스(robotics) 등 현대차의 미래 신성장 영역 제품과 기술에 대한 설명을 듣고 의견을 나눴다. 양사 경영진은 연구개발 현장을 둘러보고, 자율주행차와 수소 전기차 등을 시승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가 재계 총수를 현대차그룹 ‘연구개발(R&D) 심장부’인 남양연구소에 초대하기는 처음이다. 제품기획, 디자인, 설계, 시험, 시험차 제작, 선행연구 등 전세계 시장에 출시하는 자동차의 개발을 전담하는 남양연구소는 국내 자동차 연구개발 시설로는 최대인 347만㎡ 규모로 1만4000여명이 근무 중이다.
업계에선 이 부회장과 정 부회장의 회동 주기가 빨라진 건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시점을 앞당기기 위해서가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은 지난 3월 한 번 충전으로 최대 800㎞를 이동할 수 있는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정 부회장은 이에 지난 5월 전고체 배터리 기술 관련 설명을 듣기위해 회동을 제안, 첫 만남이 성사됐다.
전고체 배터리는 양극과 음극 사이 전해질이 액체가 아닌 고체로 된 전지로, 폭발 위험성이 낮고 대용량 구현이 가능해 ‘꿈의 배터리’라고도 불린다. 크기와 무게를 줄이고 충전시간도 짧아 전기차 업계에서 게임 체인저로 여겨지고 있다. 관건은 상용화 시점이다. 현재는 2030년쯤으로 예상되는데, 전기차 시대 진입이 빨라지면서 이를 앞당길 필요가 있다.
전고체 배터리 양산시기를 앞당겨 초반 시장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는 이해관계가 맞물린 점도 양사의 협력 이유로 거론된다. 전고체 배터리 기술이 앞선다고 평가받는 일본은 토요타와 파나소닉이 2017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부문 협업을 이어오고 있다. 두 회사는 2022년까지 전고체 배터리를 양산한다는 목표를 밝혔으며 이를 위한 합작사까지 세웠다.
진보한 자율주행 기술로 전기차 시장을 접수한 테슬라의 독주 역시 양사의 협력 강화 배경 중 하나로 분석된다. 2017년 전장전문업체 하만을 인수한 삼성전자는 2019년 차량용 반도체 기능안전 국제 표준 인증을 받았다. 반도체와 IT 부문에서 선두인 삼성전자와 혁신 모빌리티 기업으로 도약을 준비하는 현대차 모두 협업이 절실한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양사는 전기차 배터리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등 여러 분야에서 파트너나 바이어가 될 수 있는 사이”라고 말했다.
강주화 박구인 기자 rula@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