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전역 16만5000여명 소공인 지원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가 설립된다. 기존 인쇄와 의류봉제, 주얼리, 기계금속 등 특정 업종별로 지원해온 시내 6개 소공인 지원센터를 아우르는 역할이다.
서울시는 성동구 성수동에 서울 전역 도시형 소공인을 지원하는 전국 첫 ‘광역 소공인특화지원센터’를 설립한다고 21일 밝혔다. 소공인의 상품기획‧제작부터 판매, 유통‧마케팅까지 종합 지원한다.
광역 센터는 수제화 집적지인 성수사거리 인근에 지하2층~지상7층(연면적 2709㎡) 규모로 조성한다. 이달 말 착공해 2022년 6월 말 준공할 예정이다.
서울시 전체 제조업 소공인 지원정책을 발굴하고 지역별로 흩어져있는 소공인 지원센터를 총괄 지원한다. 업종별‧집적지별 특성을 반영한 혁신적인 사업모델을 개발하고, 동종 산업 간 또는 타 제조업과 협업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R&D)과 유통‧판로 확대에 나선다.
실내에는 소공인을 위한 다양한 시설들을 마련한다. 먼저 기획~제작‧생산~유통‧마케팅 전 과정이 원스톱으로 이뤄지는 첨단 기술 공장인 ‘스마트 팩토리’를 조성한다. 또 초기 소공인을 위한 입주공간, 다양한 장비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공동장비공간,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 첨단기술을 갖춘 전시관이 조성된다.
그동안 서울시는 을지로(인쇄) 독산(의류봉제) 봉익(주얼리) 창신(의류봉제) 문래(기계금속) 장위(의류봉제) 등 6개 ‘소공인특화지원센터’를 운영해왔다. 각 소공인 집적지역 특성에 맞는 현장 중심 서비스를 지원했다.
서울 시내 소공인 집적지역은 총 149곳으로 전국 총 696개소 중 21%를 차지한다. 산업단지를 제외하면 전국에서 경기도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서울 소공인 사업체는 총 5만5048개로 전체 제조업체의 92.8%를 차지한다. 종사자 수는 16만4172명으로 전체 제조업의 59.4%다.
광역 센터는 기존 특화센터 간 프로그램 공유‧연계를 통해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중앙정부와 서울시의 지원책이 중복되는 행정력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서울시는 도심제조업을 4차산업혁명 시대에 다양한 기술과 결합해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분야로 보고 있다. 정작 도심제조업은 규모의 영세성, 인력난, 경쟁 심화 등으로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다. 김의승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제조업 인프라를 확충하고 제조업 활성화 지원정책을 추진해 도심제조업이 고부가가치 산업을 이끌 수 있도록 지원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