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는 독립운동 성지” 독립운동기념관 건립 본격화

Է:2020-07-19 13:31
:2020-07-19 14:48
ϱ
ũ
국민DB

민간이 주도하는 ‘대구독립운동기념관’(이하 독립기념관) 건립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이 사업은 일제강점기 대구가 독립운동의 성지였다는 것을 널리 알리기 위한 것이다.

대구독립운동기념관 건립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20일 발기인 대회를 열고 독립기념관 건립 추진을 본격화한다고 19일 밝혔다. 추진위원장은 김능진 전 독립기념관장이 맡았으며 지역 인사들과 독립운동가 후손 등이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줄 예정이다.

앞서 추진위는 팔공산 부근 독립기념관 건립 방침과 세부 계획 등을 마련했다. 한 독립운동가 후손이 기증한 대구 동구 용수동 4만7516㎡ 터에 역사관(대구독립운동역사관, 대구형무소역사관)과 체험 학습장, 야영장 등을 만들 계획이다.

일제강점기 대구형무소 자리는 현재 대구 중구 삼덕동 인근이지만 그 흔적은 남아있지 않다. 추진위는 복원의 어려움, 예산 등을 고려해 팔공산 기슭에 독립기념관을 짓기로 했다. 기념 시설 내부에 상설전시실 등을 마련하고 독립운동에 관련된 영상 자료, 유물, 상징 조형물 등을 전시할 예정이다.

추진위가 독립기념관 건립에 나서는 것은 대구가 독립운동의 성지라는 확신이 있기 때문이다. 추진위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대구형무소에서 순국한 독립운동가는 독립유공 서훈자 176명, 미서훈자 4명 등 180명으로 서대문형무소(175명)보다 많다. 1925년 대구의 독립유공자 수는 159명으로 당시 인구 비례로 계산했을 때 서울의 1.6배, 부산의 3배, 인천의 5배였다. 또 대구 동구에 국립묘지로 승격한 국립신암선열공원이 있다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독립기념관 건립에 가장 큰 어려움은 예산이다. 추진위는 독립기념관과 주변 시설을 만드는데 500억여원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매년 운영비도 7억원 정도가 들 것으로 예상된다. 추진위는 건립과 운영 모두 서대문형무소역사관처럼 국비로 지원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추진위 관계자는 “대구형무소는 대구뿐만 아니라 한강 이남지역의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고초를 겪은 곳으로 큰 의미가 있다”며 “민관이 힘을 합쳐 예산 확보에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