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예정지 지정‧철회 40년…황폐화된 삼척 근덕면

Է:2020-07-07 13:52
ϱ
ũ

삼척 시민 “정부 차원 대책 마련해 달라” 촉구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부남·동막리 일대가 40년 가까이 원자력발전소 부지로 지정 철회가 반복되면서 개발을 하지 못해 폐허로 방치돼 있다. 삼척시 제공

푸른 바다와 울창한 숲에 둘러싸인 천혜의 땅이 40년 가까이 원자력발전소 건설 예정지로 묶였다가 철회되는 일이 반복되며 황무지로 전락했다.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부남·동막리 일대의 얘기다. 근덕면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두 차례나 원전 건설 예정지로 지정됐다가 철회되기를 반복하며 폐허로 방치돼 있다.

장진용(67) 동막1리 이장은 “동막리는 그동안 원전 건설 예정지로 지정돼 관광지로도 개발도 안 됐다”며 “이곳은 개발하다가 만 부지가 흉하게 방치되는 등 삼척에 있는 바닷가 지역 중 가장 뒤떨어져 있다”고 말했다.

7일 삼척시에 따르면 정부는 1982년 근덕면 덕산리 일대를 원전 건설 예정 후보지로 지정했다. 당시 주민들은 반대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이장 집단 사표, 총궐기대회 등 원전 건설 계획에 강력하게 반발했다. 결국 1998년 정부로부터 원전 건설 예정지 지정 해제 결정을 끌어냈다.

그러다 근덕면 일대는 2010년 2월 소방방재산업단지 조성 공사가 착공하면서 개발이 본격화됐다. 하지만 2012년 9월 근덕면 동막·부남리 일대가 또다시 원전 예정지로 지정되면서 소방방재산업단지 조성사업은 물거품이 됐다.

삼척시민은 문화제, 촛불집회, 궐기대회, 기자회견, 도보 순례 등 다시 반핵 투쟁에 나섰다. 두 번째 원자력발전소 예정구역 지정 고시는 2019년 6월 해제됐다.

원전 예정지 지정과 철회가 반복되면서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들의 몫이 됐다. 각종 규제에 묶여 재산권 행사는 물론 비가 새는 주택 보수조차 하지 못하는 피폐한 삶을 살아야 했다. 원전 예정구역 지정이 철회된 지 1년이 지났지만, 부남·동막리 일대는 여전히 황폐해진 마을로 방치돼 있다.

삼척시민은 정부 지원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삼척상공회의소와 삼척시번영회는 6일 성명을 내고 “40년간 대진원전 예정구역 지정과 철회를 반복하면서 지역개발사업은 발목을 잡혔고, 천혜의 자연환경을 지닌 해안부지는 폐허로 방치되고 있다”며 “훼손된 생태를 회복하고 자원화하는 사업을 통해 생태관광지로 변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진원전 예정구역 철회가 된 지 1년이 지났는데도 정부 대책은 전혀 없는 상황이고, 폐허 속에 둘러싸인 주변 마을 주민들의 고통은 계속되고 있다”며 “주민 아픔 치유, 낙후된 생활 여건 개선, 지역개발 여건 조성 등을 위해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척시도 부남·동막리와 덕산리 일대 534만㎡ 부지를 투자선도지구로 지정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시는 삼척그린에너지파크, 강원도개발공사와 함께 이 일대에 동해안 최대 규모의 휴양·관광·주거 복합단지인 '삼척 힐링라이프타운'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힐링라이프타운의 주요 시설은 지역 농·수·산림 자원을 활용한 6차산업 융합형 신산업 단지, 주거·휴양 단지 등이다.

삼척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국가 에너지 정책에 희생양이었던 주민들에게 조금이나마 위안이 되고 삶의 희망과 꿈을 줄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호소했다.

삼척=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