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세 미만 절반이 결혼해도 자녀가 없어도 된다고 인식했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19 한국의 사회지표’ 결과다. 20대(20~29세)에서 자녀가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48.5%였다. 10대(13~19세)는 절반이 넘는 53.6%가 자녀가 필요 없다고 했다. 미래 세대 출산율이 더욱 떨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미 매년 출산율은 역대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가임여성 1명당 출산율을 나타내는 합계출산율은 2018년보다 0.06명 감소한 0.92명으로 2년 연속 1명 미만을 기록했다. 역대 최저치이기도 하다.
30대 초반 여성 1000명 중 출산 인구는 86.3명에 불과했다. 30대 후반 45.0명, 20대 후반 35.7명 등 나이가 어려질수록 오히려 출산율이 감소했다. 특히 20대 후반 여성의 출산율은 전년보다 5.3명이 줄었다. 2000년만해도 150.3명에 달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20년도 채 되지 않아 4분의 1로 줄어든 셈이다.
때문에 전체 인구 중 가장 중간 나이를 뜻하는 중위연령은 43.1세로 지난해보다 0.5세 높아졌다. 2010년 37.9세에 비해서는 5.2세 높아졌다. 65세 이상 인구는 768만5000명으로 전체 인구 14.9%를 차지했다.

수도권 인구 과밀 현상도 그대로였다. 수도권 인구는 2584만4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절반을 차지했다.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을 역행하는 것으로 수도권 과밀화를 막기 위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