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9일 기자회견을 자청해 자신을 둘러싼 의혹들을 해명했지만 여론은 여전히 싸늘하다. 위안부 유가족 단체에서는 기자회견을 열어 윤 의원의 사퇴와 정의기억연대의 해체를 요구했다. 일부 후원자들은 후원금 반환 소송을 준비하는 기류도 감지된다.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는 1일 인천 강화도의 한 식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정의기억연대의 전신)의 운동 방식에 대해 비판했다. 지난달 7일 최초로 문제를 제기한 이용수(92) 할머니의 주장에 힘을 실어준 셈이다. 양순임 유족회 회장은 “유족회는 1990년부터 일본 정부의 사죄와 피해자 보상을 위해 일본 법원에 재판을 제기해 왔다”면서 “한국 정부가 1993년 ‘위안부 생활안정지원법’을 제정한 이후 자진신고기간을 마련해 (위안부 피해자) 명부를 갖고 있었는데 정대협이 갑자기 명단을 가져갔다”고 주장했다.
양 회장은 배상을 받은 일부 위안부 피해자들이 정대협의 비판을 받았다고도 했다. 양 회장은 “정대협은 1995년 제정된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국민기금’을 받겠다는 할머니들에게 ‘공창’이나 ‘매춘’과 다름없다고 말했다”면서 “할머니들은 그런 단어를 듣는 것을 끔찍해했다. 이후 윤 의원과 정대협을 무서워하게 됐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아시아여성평화기금을 조성할 당시 할머니들과 함께 적극 반대했고, 한국 정부가 마련한 지원금을 전달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유족회는 그동안 수집한 자료를 담은 책 ‘빼앗긴 세월 일본군대 위안부를 찾아서’ 출판을 여성가족부가 예산 부족을 이유로 거절했다고 주장했다. 또 강순애 할머니가 생전 다른 위안부 피해자들이 묻힌 국립 망향의 동산에 묻어 달라고 유언을 남겼지만, 정대협이 납골당에 안치했다고도 주장했다.

유가족들은 윤 의원의 국회 등원에 대해 불쾌감을 드러냈다. 김양엽 할머니의 딸인 김모(74)씨는 “위안부 피해자 문제로 사리사욕을 챙기고, 돈이 없어 쩔쩔매는 사람이 나뉘는 것이 분하다”면서 “윤 의원이 국회에 앉아있는 것이 싫다”고 했다. 김 할머니의 아들 김광영(79)씨 역시 “이번 사건이 터지고 눈물이 쏟아졌다. 윤 의원을 용서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윤 의원에 대한 검찰 수사는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서부지검 형사4부(부장검사 최지석)는 이날 오전부터 6시간 동안 정대협 회계담당자를 불러 참고인 조사를 진행했다. 검찰은 남편 김삼석(55)씨에 대한 사문서 위조 혐의도 함께 들여다 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법조계에서는 윤 의원이 불체포특권을 행사하기 전에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의연을 포함해 나눔의집 등 위안부 피해자 단체에서 기부금을 불투명하게 운용했다는 의혹이 확산되면서 후원자들 10여명이 후원금 반환소송도 추진되고 있다.
대학생 강모(25·여)씨는 지난 3월 대학 내 강제추행사건 합의금 중 일부를 제외한 900만원을 나눔의집에 기부했지만 반환 소송에 참여하기로 했다. 강씨는 “피해를 겪으며 할머니들의 삶이 생각나 노후를 위해 기부했지만, 기부 목적이 전혀 달성되지 않아 반환을 결정했다”면서 “소송에서 승리할 경우 더 투명한 단체에 기부하거나 할머니들께 직접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대표로 소송을 추진하고 있는 김영호(28)씨는 “후원금 내역을 투명하게 밝히지 않으면 재단 재산을 축적하는 데 이용당한 꼴밖에 되지 않는다”고 소송을 시작한 이유를 밝혔다.
강화=황윤태 기자, 정우진 기자 truly@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