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규의 히든 히어로] 무장투쟁 나선 승려들…제주 ‘법정사 항일운동’

Է:2020-05-09 08:00
ϱ
ũ

잊혀진 한의사 독립투사들 ⑩정구용(鄭九鎔:1880.10.5~1941.5.5)

정구용 선생이 참여한 제주 법정사 독립운동 관련 일제 판결문.

정구용은 경상북도 영일군에서 태어나 1918년 무오년 10월 7일, 무오 법정사 (戊午 法井寺) 항일 운동의 주역으로 활약했다. 법정사 의거는 불교계가 중심이 돼 일으킨 제주 최초 최대의 무장 항일운동으로 1919년 3·1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선생은 영일군에서 제주도로 건너가 제주 중문면 법정사에서 동향의법정사 주지 김연일과 함께 일본의 침략에 분노하면서 ‘반일 반외세’를 기치로 삼는 항일 비밀 결사를 1918년 봄에 결성했다. 이 비밀 결사는 강창규, 방동화 등의 승려를 중심으로 한 조직을 확대한 것이었다.

이해 10월에 이르러서는 30여 명의 동지들을 규합할 수 있었다. 10월 7일 선생과 김연일 주지, 방동화·강민수·김인수·김용충·장림호·김상언·최태유 스님과 행자 김윤옥 등 승려 13인을 비롯한 거사의 주역들은 격문을 제작해 서귀포 일대에 배포했다. 그 격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 조선인이 일본에 침탈당하여 괴로움을 겪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옥황상제 성덕주인(聖德主人)께서 우리 조선인을 구원하라는 명을 내렸다. 이에 각 면 및 이장은 즉시 마을에서 장정을 모아 이달 3일 오전 4시에 하원리에 집결하도록 하고, 4일에는 거사를 일으켜 관리를 체포하고 일본인들을 축출하도록 한다. 이 명령을 따르지 않는 자는 군법에 따라 처벌한다”

특히, 제주도 내 일본인 관리와 일본인 상인들을 제주 밖으로 축출하기 위해 각 면의 이장에게 격문을 배포하면서 동참할 것을 권유, 마을주민 등 700여 명이 가세한 가운데 행동을 개시했다. 정구용과 동지들은 일경의 연락을 차단하기 위해 전선을 절단해 각 주재소를 고립시켰고 중문 주재소를 기습 공격했다. 중문 주재소에 감금됐던 13명의 구금자를 석방하고 식민수탈에 동조했던 일본 상인들을 공격했다. 일부는 주재소에서 탈취한 무기로 무장까지 했으나 곧이어 출동한 일본 경찰에 의해 현장에서 다수가 체포됐고 나머지는 간신히 피신했다.

제주 법정사 항일운동 조직도.

조선 총독부 재판소 형사 사건부 및 광주지방법원 제주지청 수형인 명부에 따르면 법정사 항일항쟁의 검거 인원은 총 66명이었고, 그 중 48명이 소요 보안법 위반죄로 기소됐다. 재판 결과는 징역형 31명, 재판 전 옥사 2명, 벌금형 15명과 불기소 처분 18명이었다. 항일투쟁 핵심주체들 중 일부는 오랜 기간 체포를 피했는데, 김연일은 1920년 3월, 강창규는 1922년 12월 27일, 방동화는 1918년 11월 12일, 정구용은 1923년 2월 13일에야 체포됐다.

정구용은 1919년 2월 4일 궐석재판에서 소요 및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3년 형을 선고받고 목포 감옥에 수감됐다. 출옥 후 경상북도 포항 소재 보경사를 근거지로 활동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송라면 중산리 보경사 일주문 앞에는 ‘기미 3·1 독립의거기념비’가 있다. 비문에 정구용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제주 법정사 항쟁 이후 정구용의 경상북도 지역에서의 행적을 알 수 있는 흔적이다. 일제에 체포되어 복역했지만 출옥 후에도 지속해서 사찰을 근거지로 삼아 승려들과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정구용의 손녀로 알려진 묘혜 스님(대구 향림사 주지)에 따르면 형님인 정상용 지사와 함께 독립운동을 했고 스님이란 신분이 독립운동을 하는데 도움이 됐다고 한다. 유족들은 선생이 임시정부 김구 선생의 자금 조달책이었다는 사실, 그리고 김구 선생과 부모님이 함께 찍은 사진을 기억하고 있다. 선생은 1941년 포항읍 자택에서 61세로 입적했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2002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정상규 작가는 다양한 역사 콘텐츠를 통해 숨겨진 위인을 발굴해왔다. 현재 ‘국가유공자 지원 시민단체 포윅스’ 대표를 맡고 있다. 저서로는 ‘독립운동 맞습니다’ ‘잊혀진 영웅들, 독립운동가’ 등이 있다.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