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국민일보 취재 내용을 종합하면 지난 3일 오전 7시41분쯤 총성이 울리자 GP 소초장(중위)은 지휘계통에 따라 총격 상황을 상급 부대에 보고했다. 사단장은 당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우선 대응 사격 명령을 내렸다. 우리 군 GP는 1차로 K-3 기관총(5.56㎜)으로 대응 사격했다. 북한군이 14.5㎜ 고사총을 사격한 정황을 고려해 2차 사격 때는 유사한 구경인 K-6 기관총(12.7㎜)으로 대응했다. 대응 사격까지는 모두 합쳐 10여분이 소요됐다. 이어진 경고 방송까지는 20여분이 걸렸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군의 조치가 북한군의 도발에 대한 군 지침과는 다소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군의 최전방 교전 지침은 현장 지휘관의 ‘선(先)조치 후(後)보고’ 방식이다. 현장 판단에 따라 즉각 응사하는 게 원칙이라는 것이다.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3일 브리핑에서 “현장 지휘관 판단 하에 10여발씩 2회 경고 사격을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당시에는 GP 소초장이 현장 지휘관으로서 대응 사격 판단을 한 것으로 인식됐다. 다만 합참은 중위 계급인 소초장은 ‘지휘자’에 불과하며 현장 부대를 지휘하는 사단장급 등이 지휘관에 포함된다고 본다. 합참 관계자는 “현장에서는 조치가 적절하게 이뤄졌다고 보인다”고 평가했다.
또 대응 사격이 즉각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10여분이 걸린 데 대한 우려도 있다. 대응이 너무 늦은 것 아니냐는 얘기다. 다만 군 당국은 과거 사례와 비교하면 상당히 신속하게 대응한 것이라는 입장이다. 2014년 북한이 대북 전단을 향해 고사총을 발사했을 당시에는 우리 군의 대응 사격까지 1시간45분이 걸린 적이 있다. 군 관계자는 “안개가 짙은 상황에서는 타격 원점을 확인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며 “상부 보고까지 이뤄진 상황에서 대응에 10여분이 걸린 것은 결코 늦은 게 아니다”고 해명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