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전국 어린이집 개원 일정에 대해 “등교수업이 본격화되면 상황을 지켜본 뒤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취약한 영유아 보호를 위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은 6일 정례브리핑에서 “(어린이집은) 영유아가 집단생활을 하는 곳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더 보수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며 “어린이집 이용 아동이 조부모와의 접촉 빈도 가능성이 더 높은 여러 특성을 감안해 등교수업이 본격화되면 상황을 지켜보면서 본격적인 개원 일정을 결정하고 가능하면 빠르게 말씀드리겠다”고 밝혔다.
김 1총괄조정관은 “어린이집을 통한 감염사례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 비교적 안전한 상황을 유지하고 있긴 하다”면서도 “40%가 넘는 아동이 현재 등원하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상황일 수 있는 여러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어린이집의 준비상황, 방역조치에 관한 현장에서의 이행 여부 등을 현장과 논의·점검 중”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학교 개학 연기에 맞춰 지난 2월 27일부터 전국 어린이집을 휴원 결정했다. 대신 돌봄 공백 방지를 위해 당번교사를 배치해 이용 사유 제한 없이 긴급보육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 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어린이집 3만5830개소에서 긴급보육을 이용하는 아동은 67만2122명으로 57% 수준이다. 절반이 넘는 아동이 평상시와 유사하게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것이다.
유치원생의 경우 초등학교 1~2학년이 등교하는 오는 20일부터 등원한다. 어린이집에는 유치원생과 같은 만 3~5세 아동도 포함돼 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