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가 계절과 지역 특성을 고려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종합대책을 수립키로 했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27일 서울 용산구 KDB 생명타워에서 열린 ‘ASF 대책 전문가 토론회’에 참석해 “계절적 특성, 지역마다의 지리적·지형적 특성을 반영한 ASF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홍 차관은 “긴급상황에 대처하는데 급급해온 지금까지의 조치들을 돌아보고, 넓은 시야에서 ASF 발생지역뿐 아니라 비발생 지역을 포괄하는 체계적인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ASF 종합대책 수립 계획을 공식화했다<국민일보 4월 27일자 14면 참조>.
야생멧돼지 ASF는 지난해 10월 3일 경기도 연천군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26일까지 총 570건이 발생했다. ASF 발생이 6개월째 지속되고 있으며, 양구·고성·포천 등 ASF 발생 지역도 확대되는 추세다. 다만 양돈 농가에서는 지난해 10월 9일 이후로 추가 발생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다.
홍 차관은 “그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멧돼지 ASF 발생 상황에 전환점을 만들어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라며 “미흡했던 부분에 대한 철저한 보완과 계절 등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지난 6개월간의 경험을 토대로 표준행동지침(SOP) 등 대응 매뉴얼을 현실성 있게 고치려는 노력도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환경부는 야생멧돼지 ASF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다음 달 중순쯤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