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한 숙박업소에서 일하는 20대 직장인 A씨는 이달 근무 일수가 절반으로 줄었다. 사측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경영상태가 나빠졌다며 A씨의 근무 일수를 사측이 일방적으로 줄였기 때문이다. A씨는 27일 “정규직이라 해고는 못 하니 근무 일수를 마음대로 줄이며 노동자를 쥐어짜고 있다”며 “동료 중엔 월세 걱정을 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고 분노했다.
A씨는 “손님이 줄어도 근무자도 줄어들며 일의 강도는 달라지지 않았다”면서 “오히려 입실 전 체온 체크, 해외 체류 이력 등 개인정보 수집 동의서 작성, 퇴실 시 방역 등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잡무가 늘어나 고될 때가 많다”고 전했다. 이어 “이렇게 긴박한 상황에 처해 보니 회사가 근로자 생각을 얼마나 안 하는지 체감한다”고 덧붙였다.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30대 B씨는 회사가 연차 소진을 강요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코로나19 이후 회사는 직원들에게 무급 휴가제도를 운영하겠다고 공지를 내렸다. 그런데 연차소진을 두려워하는 직원들 신청이 폭증하자 선착순으로 마감했다. 이후엔 연차를 쓰라고 구두로 강요했다. 아예 연차를 끼워 만든 근무표를 통보하기도 했다. B씨는 지난 2~3월 반강제적으로 쉬면서 연차의 절반 정도를 이미 소진한 상태다. B씨는 “반년도 안돼 올해 연차를 다 써버리게 생겼다”며 걱정했다.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9일째 10명 안팎을 기록하는 등 안정 국면에 접어드는 것으로 평가되지만 이처럼 직장인들의 불안정한 상태는 지속되고 있다.
직장갑질119는 ‘코로나19와 직장생활변화’를 주제로 직장인 1000명에게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를 이날 발표했다. 조사에서 ‘소득이 줄었다’고 대답한 직장인은 47.5%로 절반에 육박했다. 서비스직(66.9%) 근무자 소득감소는 사무직(35.4%)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직장에서 본인 및 지인이 경험한 부당처우는 20%이하로 나타났지만 ‘무급휴업 강요’의 경우 주변 지인 경험 비율이 20.7%로 높게 나타났다. 무급휴업 강요 응답에도 서비스직(19.7%)은 사무직(7.8%)과 비교해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반면 코로나19로 소득이 줄어든 직장인을 위해 취하고 있는 정부 조치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았다. 당장 이날 시작된 무급휴업 및 특수고용직 월 50만원 지급 정책을 알고 있는 직장인은 각각 29.5%와 22.7%에 불과했다.
강보현 기자 bob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