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텍 연구팀이 실시간 생체 분석과 함께 스스로 제어되는 치료용 ‘스마트 콘택트렌즈’ 기술을 개발했다.
포스텍은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 연구팀이 콘택트렌즈 착용만으로 전기 신호로 약물 방출을 조절해 당뇨병을 스스로 진단·치료할 수 있는 무선구동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세계적인 저널인 사이언스 어드밴스에 게재됐다.
이번에 연구팀이 개발한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 제작됐으며 바이오 센서, 약물 전달시스템, 데이터 통신 시스템 등이 집약돼 있다.
연구팀은 당뇨 토끼 모델에서 스마트 콘택트렌즈로 분석한 눈물 속 당 농도가 피를 뽑아 측정하는 기존 당 측정기로 분석한 혈당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스마트 콘택트렌즈 속 약물에 의해 당뇨 망막 병증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 파킨슨병과 같은 뇌 질환이나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을 전기자극으로 치료할 수 있는 전자약 시스템으로 활용 범위를 넓히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포스텍 한세광 교수는 “당뇨 진단, 당뇨 망막 병증 치료용 약물전달 시스템이 장착된 무선 구동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세계 최초로 개발함으로써 관련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팀은 ㈜인터로조와 스마트 콘택트렌즈 상용화를 위한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임상 시험을 추진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