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이 국내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을 분석한 논문을 발행했다. 100명에 가까운 확진자가 나온 서울 구로구 콜센터의 집단감염 사례를 토대로 낸 연구결과다. 확진자 발생 경로 뿐만 아니라 무증상 감염자의 2차 감염 여부, 방역 대처 과정까지 상세히 담았다.
26일 미국 질병통제센터(CDC)가 발행하는 의학학술지 ‘신종 감염병(Emerging Infectious Diseases)’ 온라인 최신판에 따르면, 정 본부장 연구팀은 ‘한국 콜센터에서의 코로나바이러스 발생(제1저자 박신영)’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 논문에는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와 한림대 의대 등 방역 관리자와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정 본부장은 논문에 책임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정 본부장이 코로나19를 주제로 논문을 펴낸 건 이번이 처음이다. 해당 논문은 사전 발행된 것으로 수정을 거쳐 오는 8월에 최종본이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연구팀은 지난달 9일 첫 확진자가 확인된 콜센터 건물에서 총 97명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해당 건물의 직원과 거주민, 방문객 등 1143명을 진단검사한 결과로 양성률은 8.5%였다. 최초 확진자가 확인된 11층에는 모두 216명이 근무하고 있었고, 양성률은 43.5%(94명)에 달했다.
97명의 확진자 가운데 89명(97.1%)은 조사 시작 당시부터 증상을 보였다. 4명(4.1%)은 증상이 없다가 격리기간(14일)에 증상이 발현된 것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4명(4.1%)는 격리기간이 종료될 때까지도 무증상 감염자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무증상 감염자의 경우 가족 접촉자 17명을 조사한 결과, 2차적인 추가 전파는 보고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확진자 발견 직후 건물에 취해진 고강도의 코호트 격리, 가족 등 접촉자들의 자가 격리 조치 등이 2차 감염고리를 끊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했던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연구팀은 광범위한 추적조사에도 불구하고 지표환자(실제 최초로 감염된 확진자)를 식별해 내는 것은 쉽지 않다고 부연했다.
연구팀은 방역 과정도 논문에 담았다. 방역 당국은 환자 발생이 보고된 지난달 9일 건물을 폐쇄해 12일까지 모든 입주자에게 진단검사를 시행했다. 확진자는 증상별로 치료에 들어갔고, 음성으로 나오더라도 14일간 의무적으로 자가격리에 들어갔다. 자가격리자는 반복적인 진단검사를 받으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에 받았다. 콜센터 건물에서 5분 이상 머물렀던 시민들에게 총 1만6628개의 문자 메시지 보냈고, 휴대전화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접촉자 추적에 나섰다. 메시지 수신자들은 접촉을 피하고 선별진료소로 가서 진단검사를 받도록 지시했다.

연구팀은 콜센터 직원들의 자리 배치도 그림(사진)으로 상세히 묘사했다. 직원들 가운데 확진자가 어디서 나왔는지도 따로 표시했다. 대부분 건물 한쪽에 밀집해서 집단근무를 하고 있었고, 그 결과 감염에 쉽게 노출됐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건물 안에 있는 엘리베이터나 로비에서 다른 층의 근무자들 간 접촉이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코로나19 확산은 거의 대부분 11층에 한정됐다”며 “이번 콜센터 사례는 고밀도 작업 환경이 코로나19 확산에 얼마나 높은 위험도를 보이는지 알려준다”고 강조했다.
최지웅 기자 woo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