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예방을 위한 보건용 마스크를 6·25전쟁 당시 한국을 도운 참전국에 우선적으로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공급 대상은 미국 등 22개국으로 좁혀지고 있다. 일본에도 마스크 지원 방안이 논의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이를 반대하는 국민청원까지 등장했다.
21일 국방부와 국가보훈처 등에 따르면 6·25전쟁에는 우리나라를 돕기 위해 유엔군 소속(이탈리아는 당시 비회원국) 외국 군인 195만7733명이 참전했다. 이 가운데 3만7902명이 전사·사망했다. 10만3460명이 다쳤고 9767명이 포로가 되거나 실종됐다. 참전국 22개국 중 전투지원국은 16개국, 의료지원국은 6개국이다.
전투지원국 중 미국이 최대 규모인 178만9000명을 파견했다. 영국이 5만6000명(4909명, 이하 인명피해), 캐나다가 2만6791명(1761명), 터키가 2만1212명(2365명), 호주가 1만7164명(1584명)을 파병했다.
의료지원국 중 가장 많은 인원을 보낸 나라는 스웨덴(1124명)으로 조사됐다. 이어 덴마크(630명), 인도(627명), 노르웨이(623명), 이탈리아(128명), 독일(117명) 등이 의료인력을 보냈다.

앞서 정세균 국무총리는 최근 코로나19 관련 회의에서 “보건용 마스크 수출·지원하면 국격을 업그레이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미국과 일본, 한국전쟁 참전국에 대한 마스크 지원 방안 검토를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시기는 국내 수급이 확실하게 안정돼야 외국에 대한 마스크 지원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여론은 좋지 않다. 특히 최근 보복성 수출조치, 입국 제한 등으로 한국과 마찰을 빚었던 일본에 대해선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 외교부는 “일본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 요청이 있는 것은 아닌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도 “미국, 일본, 한국전 참전국 마스크 지원에 대해서는 외교부, 국가보훈처 등 관련 부처가 협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일축하고 있지만 논란이 더 커지는 모양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