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이후 전 세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실시간 온라인 국제 포럼을 개최한다.
KAIST는 22일 오전 9시부터 대전 본원 정근모 컨퍼런스 홀에서 ‘글로벌전략연구소 국제포럼 2020(GSI-IF2020)’을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글로벌 협력방안’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포럼은 KAIST 글로벌전략연구소(GSI)와 세계경제포럼(WEF) 한국4차산업혁명정책센터가 공동으로 주최한다.
국제적 기업과 단체, 교육기관이 함께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글로벌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는 이번 포럼이 세계 최초다.
포럼은 온라인 플랫폼으로 발표·토론이 진행된다. 유튜브 스트리밍 실시간 중계 등을 통해서도 전 세계에 생중계될 예정이다.
주요 논제는 바이러스와 코로나19로 발생하는 글로벌 이슈, 정치·경제·산업·과학기술 및 의료분야 등과 관련한 범국가 간 협력방안이다.

기조연설에는 총 5명의 연사가 발제자로 나선다.
먼저 아하누 베흐나흐(Arnaud Bernaert) WEF 세계건강보건부문장은 이번에 새롭게 출범한 WEF의 ‘코로나19 행동 플랫폼’에 대해 소개하고, WEF를 주축으로 국가·기관·기업들의 글로벌 협력방안과 전략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어 제롬 김(Jerome H. Kim)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은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주제로 백신·치료제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상시적인 국제 지원 체계 구축에 대해 발표한다.
교육 분야의 발제자로 나서는 알렉산드로 파파스피리디스(Alexandros Papaspyridis) 미국 마이크로소프트 고등교육산업솔루션 이사는 ‘뉴노멀의 준비’에 관한 강연을 펼친다.
그는 온라인 교육 체제 도입 등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교육 분야의 변화를 소개하는 한편 AI 기반의 고등교육 디지털 혁신 등 교육 혁신 전략을 소개한다.
이밖에 용홍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장과 최윤재 KAIST AI 대학원 교수가 각각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현황과 국제협력 방향’과 ‘코로나19와 AI : KAIST의 현재 연구’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패널 토론은 ‘경제 위기와 교육 변화의 영향’과 ‘의료 건강관리, 인공지능, IT기술의 역할’을 주제로 각각 진행될 전망이다.
포럼 생중계 채널 주소는 KAIST 홈페이지와 SNS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글로벌 포럼이라는 특성 상 영어로 진행되기 때문에 동시통역 자막이 제공된다.
KAIST GSI 소장인 전기및전자공학부 김정호 교수는 “이번 포럼은 코로나19에 따른 세계의 사회·경제적 파장에 대해 통찰하고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백신과 치료제 개발뿐 아니라 과학기술적인 접근법을 함께 모색하고,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국제 협력 방안이 다양하게 제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