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뜨거운 불길이 코리안 드림도 집어삼켰다. 이역만리 화재 현장에서 10여명의 생명을 구한 이방인은 온몸에 상처만 남긴 채 이제 곧 고향으로 떠나야 한다. 안타까운 외국인 노동자의 사연에 이웃 주민은 치료비를 모아 건넸고, 그의 의상자 선정을 위해 백방으로 뛰고 있다.
지난달 23일 오후 11시22분쯤 카자흐스탄이 고향인 알리(28‧사진)씨는 자신이 사는 강원도 양양군의 한 원룸 건물에 들어서다 매캐한 냄새를 맡고 불이 났다는 것을 직감했다. 알리씨는 2‧3층으로 뛰어 올라가 창문을 열어 연기를 빼냈다.
서툰 한국어로 “불이야”를 외치며 이웃들을 대피시켰다. 한 원룸 안에 신음이 들려왔다. 문을 두드려도 반응이 없자 건물 밖 가스 배관을 타고 불이 난 원룸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연기가 자욱하고, 불길이 강해 한 치 앞도 보이지 않았다. 연기 속을 헤매다 현관문 손잡이를 열고 복도로 나온 순간 소방관들이 현장에 도착해 인명구조를 시작했다.
알리씨는 이 과정에서 팔과 등, 목에 2~3도 화상을 입었다. 그가 힘겹게 진입했던 원룸 안에선 안타깝게도 50대 여성 1명이 숨진 채 발견됐다. 또한 이날 불로 4명이 상처를 입었다. 부상자 가운데 알리씨가 가장 많이 다쳤고 나머지 3명은 연기만 들이마시는 가벼운 상처를 입었다. 자칫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빠른 대피 덕분에 더 이상의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소방차와 경찰차가 현장에 도착한 뒤 알리는 곧바로 현장을 떠났다. 화상을 입은 그는 뒤늦게 주민들의 등에 떠밀려 구급차에 실려 병원으로 옮겨졌다. 응급처치를 받은 그는 심각한 화상 때문에 서울의 전문 병원으로 옮겨졌다. 병원에선 치료를 위해 외국인등록증을 달라고 했지만, 그는 아무것도 건네지 않았다. 불법체류자 신분이기 때문이다.
그는 2017년 12월 카자흐스탄에서 관광비자로 한국에 입국했다. 이후 2년 동안 20만원 짜리 월세방에 머물며 일용직으로 일해 왔다. 한국에서 번 돈은 고향에 있는 부모와 아내, 두 아이를 책임져 왔다.

그러나 화상 치료 때문에 한 달째 일하지 못해 당장 생활비조차 없고, 원룸마저 불에 타 돌아갈 거처도 없는 상황이다. 더욱이 불법체류자라는 신분이 알려져 곧 한국을 떠나야 할 처지다.
이러한 상황에 놓인 알리씨의 부모 형제를 자처하고 나선 것은 이웃이었다. 불이 난 바로 옆 건물에 사는 양양 손양초 장선옥(58‧여) 교감은 그의 딱한 처지를 주변 사람들에게 알렸다. 손양초 교사들과 주변의 이웃들, 장 교감의 지인들은 모금에 나서 십시일반 700만원을 모아 치료비에 보탰다. 그가 화상 치료를 받은 베스티안 서울병원에서도 치료비를 지원했다.
장 교감은 “사람을 구하다가 다쳤기에 그를 외면할 수 없었다”며 “비록 미등록 외국인 근로자지만 대한민국이 그를 아무런 보상 없이 돌려보내야 한다는 사실이 너무 안타깝지 않으냐”고 말했다.
장 교감은 알리씨를 돕기 위해 지난 16일 양양군에 그를 의상자 대상자로 추천했다. 의상자는 자기 일이 아닌데도 다른 사람의 생명이나 신체를 구하기 위해 구조 활동을 하다 다친 사람으로, 증서와 보상금 등 법률이 정한 예우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장 교감은 그와 함께 출입국사무소에 불법 체류 자진신고를 하기도 했다. 단속에 적발될 것을 두려워하는 알리씨와 그의 의상자 추천을 위해서였다. 장 교감은 “세상에 목숨을 걸고 사람을 구하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되겠느냐”며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반드시 의상자 선정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당시 아주머니 1명을 구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잠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런 그를 심리치료까지 마치지 못하고 보낸다는 것이 너무나 안타깝다”고 했다.
알리는 불법체류 자진신고를 했기에 신고 보름 후인 5월 1일 출국해야 한다. 양양군은 보건복지부에 의상자 신청을 할 계획이다. 양양군 관계자는 “일상자 신청을 위해 사실 관계 확인 등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고 있다”며 “개인이 직접 신청해도 되지만 알리씨는 불법체류를 하고 있고 곧 출국해야 할 처지라 군에서 직권으로 신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분이 탄로 날 수도 있고, 다칠 수도 있는 상황에 왜 불길 속에 뛰어들었냐는 장 교감의 질문에 알리는 짧지만 깊은 울림이 있는 한마디로 답했다고 한다. “사람은 살려야 되잖아요.”
양양=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