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시가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을 108곳으로 확대하고 2030년까지 2조2000억원을 투입해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도시재생 사업 패러다임 변화와 정부 정책 변화에 맞춰 ‘2030 부산시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수립했다고 25일 밝혔다.
전략계획을 보면 ‘다 함께 만들고 다 함께 누리는 포용 도시’라는 비전 아래 행복하고 편리한 도시, 활기차고 경쟁력 있는 도시, 지속 가능한 시민참여 도시를 3대 목표로 정했다. 시는 전략 목표를 수립에 앞서 주민 공청회와 전문가 자문, 도시재생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확정했다.
그동안 시는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으로 26곳을 지정해 산복도로 르네상스, 새뜰마을사업,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을 각각 진행했다. 앞으로는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을 확대해 일자리 창출과 기초단체 현안 사업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로 했다.
시는 현재 뉴딜사업 권장 면적에 걸맞게 전략 계획 지역을 분할 축소했으며, 주민의 도시재생 의지가 높은 지역 92곳을 우선 재생 활성화 지역으로 지정했다.
이로써 진행 중인 16곳을 포함해 부산지역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은 총 108곳으로 늘었다.
남구 우암부두 일원과 사상구 사상 공업지역 등 7곳은 쇠퇴한 산업기능을 회복하는 경제기반형으로 추진한다. 동구 부평깡통시장, 금정구 부산대 일원 등 16곳은 역사와 문화, 관광자원을 활용해 상권을 살리는 중심시가지형으로 도시재생을 진행한다.
주민공동체 활성화와 골목상권 활력 증진을 위한 일반근린형에는 북구 덕천시장, 사상구 모라시장 등 25곳이 지정됐다. 노후 주거지를 정비해 생활 여건을 개선하는 주거지지원형 사업에는 중구 영주동, 서구 남부민동 등 44곳이 선정됐다. 재개발·재건축지역으로 지정됐다가 진행하지 못하고 해제된 12곳은 뉴딜사업으로 새롭게 추진된다.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에 드는 예산은 국비 1조1050억원, 시비 6400억원, 구비 4650억원 등 총 2조2100억원이 들어갈 것으로 부산시는 추산했다. 분야별로 경제기반형에 3500억원, 중심시가지형에 4800억원, 일반근린형에 5000억원, 주거지지원형에 8800억원이 각각 투입된다.
부산시는 도시 전역을 동·서·동부산 등 3개 권역으로 나눠 생활권마다 2개의 재생구역을 전략 공간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시는 지역별 쇠퇴지수와 잠재력 분석에 따른 우선순위에 맞춰 1∼3단계로 구분해 2030년까지 매년 7∼8개 활성화 지역에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