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세계보건기구(WHO)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전문가 회의를 개최한다. WHO가 먼저 한국 전문가들이 주도하는 연구에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고, 정부는 이를 수용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17일 정례 브리핑에서 “내일(18일) WHO와 코로나19 전향적 동일집단(코호트) 연구를 위해 내외부 전문가가 참여한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국내 의료진이 주도하는 코로나19 연구에 WHO가 참여 의사를 밝히면서 추진됐다. 국내 전문가 및 연구 참여자, 관계기관, WHO 본부에서 파견된 전문가 2명이 참석한다. 주관기관은 중앙임상위원회를 사실상 이끄는 국립중앙의료원이다.
권 부본부장은 “국내 코로나19 환자의 임상 경과, 바이러스학적·면역학적 특성 연구가 WHO를 통해 전 세계의 코로나19 방역에 도움이 된다는 차원에서 WHO의 제안을 수용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세계 각국에 대한 코로나19 대응지침 혹은 권고를 만드는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WHO가 협력을 요청했다고 보고 있다.
연구는 환자의 가검물(검사물)을 시간 단위로 확보, 면역학적·혈청학적 특성 등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코로나19가 어떤 임상 양상과 경로를 보이는지 연구해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데 참고할 수 있다.
WHO가 제시한 연구 프로토콜은 환자의 혈액, 소변, 대변, 호흡기 등 4가지 가검물을 정기적으로 확보해 바이러스의 양과 존재 여부, 증상 발현·소멸 시기 등을 살펴보는 방식이다. 개별 환자의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므로, 각 환자의 동의를 받아 진행하게 된다. 최종 연구 계획은 국내 연구진이 정한다.
권 부본부장은 “신종 감염병인 만큼 다른 나라의 경험을 배워가고 이를 토대로 대책을 변경해가며 유연하게 대응하는 게 사실상 현재 각국의 방역기구들이 하는 활동”이라며 “각국의 사례가 쌓인다면 코로나19 대응에 훨씬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