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콜센터 7만5천명…코로나에도 자가격리·유급휴일 그림의 떡

Է:2020-03-11 16:58
ϱ
ũ
영업 실적을 채우지 못하면 인센티브 하락, 업무상 불이익이 주어지는 상황에서 자가격리나 유급휴일은 ‘그림의 떡’입니다.

“구하기 어렵다는 마스크는 알아서 준비해 오라고 하고, 업무시간 중 병원 진료를 받으러 다녀오면 시간만큼 초과근무를 시켜요.”

전국 콜센터 직원은 약 7만5000명에 달한다. 이들은 실적압박에 시달리므로 코로나19 감염우려에도 유급휴가 및 자가격리를 요구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국민일보DB

서울 구로구의 한 콜센터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가 발발한 것과 관련, CJ텔레닉스 콜센터 직원들이 더불어사는희망연대노동조합(희망연대노조)에 11일 보내온 대책 요구안이다.

희망연대노조에 따르면 CJ텔레닉스는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언론 인터뷰에서 “콜센터를 지역센터와 재택근무 상담사로 나눠 운영해 업무 마비를 대비하고 있고, 회사 방역·열감지 카메라 설치·마스크 착용 의무화 등으로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콜센터 노조가 “손 소독제를 일부만 지급하거나, 열감지 카메라가 설치가 안 된 곳이 있다”고 지적하자 전체 구성원에게 소독용 젤 지급, 마스크·분무형 살균제 등 지급, 헤드셋 솜 교체 등의 조처를 내렸다.

하지만 상담사들은 밀폐된 공간에서 집단으로 근무하는 콜센터 특성상 코로나19 확산을 막으려면 근무 환경 자체를 바꿔야 한다고 지적한다.

희망연대노조는 “재택근무자를 포함해 전체 구성원들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체크하고 병원 진료시간을 유급으로 보장해야 한다”며 “가족돌봄휴가와 휴게시간을 구성원들이 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영업·실적 압박도 완화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나아가 “현장기사, 택배기사 등 업무상 관계되는 노동자가 코로나19에 노출되지 않도록 접수 단계에서부터 고객의 증상 여부를 확인하고 이들 방문노동자에게 안전 조치를 안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희망연대노조에 따르면 전국 콜센터의 수는 2006년 518곳에서 2017년 913곳으로 약 1.8배 증가했고, 종사자 수도 같은 기간 3만2662명에서 7만5480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한편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서비스일반노조는 이날 서울 서대문구 서비스연맹 대회의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구로 콜센터 집단감염은 예고된 인재(人災)”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콜센터는 코로나19가 아니더라도 독감과 눈병 등 전염성이 강한 질병이 발병하면 평소에도 취약한 근무 환경”이라며 “이를 예방하려면 재택근무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지만 그렇게 하는 업체는 없다. 돈이 많이 들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또한 “구로 콜센터 노동자도 오후 4시에 이상을 발견했지만, 오후 6시까지 근무하다 이 사달이 났다”며 “의심스러우면 자가격리를 시키고, 휴업수당을 원청이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자체를 향해서도 “기초단체부터 나서서 콜센터의 위치, 인원, 업체 등을 시급히 전수조사해야 한다. 업체가 자체 방역을 안 한다면 지자체가 나서서 방역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노조 관계자들은 대부분 외주로 운영되는 콜센터 운영 구조를 지적했다.

서울주택공사(SH) 콜센터 노조 김라미 지회장은 “확진자 발생 전 상담사 중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연차를 쓰게 할 계획이 있느냐’는 공문을 보냈더니, SH는 ‘도급사 상담사들은 도급사에 물어보라’고만 답했다”며 “원청에서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해 도급사에 지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윤선 서비스연맹 콜센터지부장도 “원청이 더 많이 책임져야 한다. 의심스러우면 자가격리를 시키고 휴업수당을 주어야 한다”며 “근본적으로는 공공기관부터 나서 콜센터 노동자를 직접 고용하고, 사례를 민간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성훈 기자 tellme@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