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형 일자리 실현을 위한 합작법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가 격랑을 헤치고 순항하고 있다. 수개월동안 본부장급 이상 임원진으로만 운영되다가 경력직 22명이 신규 채용됐다.
하지만 노동계가 다음달 ‘노사민정’ 합의를 공식 파기한다는 입장이어서 파장이 예고되고 있다.
최대 주주인 광주시와 GGM은 “사업기획과 경영지원, 생산, 품질관리 등 4개 분야에서 22명의 경력직 최종 합격자를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 채용된 경력직은 10년 이상 팀장급 10명, 5년 이상 과장급 11명, 15년 이상 자문위원 1명 등이다.
경력직 공채에는 358명이 지원해 평균 16대 1의 경쟁률 기록했다. 이들은 이달 말부터 담당 업무에 배치돼 GGM 공장설립 절차에 속도를 내게 됐다. 경력직은 공장건설과 생산일정 등에 맞춰 추가 채용한다. 1000여명의 대규모 생산직 인력선발은 2021년 상반기에 이뤄진다.
이에 따라 5년간의 임금협상 유예조항 등을 둘러싼 노사갈등 등 숱한 우여곡절을 거쳐 법인을 설립한 GGM은 지난해 12월 자동차공장 착공식을 가진데 이어 경력직을 임용하는 등 본궤도에 올랐다는 평가다. 올들어 정부 재정지원 근거를 담은 특별법 개정안도 국회에서 통과되는 등 외형적으로 GGM은 안정적으로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매진하고 있다.
하지만 노동계 참여 여부가 다시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지난해 11월 공식 불참을 선언한 노동계는 중앙지도부가 바뀐 한국노총이 협상·투쟁 대상을 광주시에서 정부로 전환하고 투쟁수위를 한층 끌어올리기로 결정해 긴장감을 높이고 있다.
노동계를 이끄는 한국노총은 당장 다음달 청와대, 국회,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광주형 일자리의 전제인 ‘노사민정’ 파기를 공식 선언하고 광주형 일자리 규탄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들은 노동이사제 도입과 원하청 개선, 노동자 평균 2배 이내의 임원진 급여책정, 시민자문위 구성 등 5개 사항을 요구했지만 묵살되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로 인해 19일 광주시청에서 열릴 예정이던 올해 첫 노사민정협의회가 노동계 대표 4명의 불참에 따라 잠정 연기돼 GGM의 앞날에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시는 수차례 협의회 참석을 노동계에 요청했으나 거절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노동인권회관 건립, 노정협의회 사무국 설치, 시민자문위원회 구성, 글로벌모터스 임원의 적정임금 책정 등 협력 방안을 내놓았지만 노동계를 설득하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다.
한국노총은 “이대로라면 광주형 일자리라는 허울을 쓴 GGM은 노사상생이 아니라 현대차 하청공장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고 있다. 노사상생형 일자리가 아닌 단순한 저임금 일자리 사업이 된다는 것이다.
이들은 노사가 책임과 권한을 나눠야 진정한 노사상생이 이뤄질 것이라고 최대 주주인 광주시와 2대주주인 현대차를 압박하고 있다.
이에 대해 광주시 박남언 일자리경제실장은 “형식에 구애없이 문제를 풀어갈 것”이라며 “노동계의 노사민정 합의 파기 이전에 해법을 내놓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