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감염’ 하루 만에 ‘3차 감염’ 번져… 국내 확진자 11명

Է:2020-01-31 21:36
:2020-01-31 21:42
ϱ
ũ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이 지난 30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국내 발생 현황과 관련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환자가 4명 추가 발생했다. 이로서 국내 확진환자는 11명으로 늘었다. 특히 확진자 가운데 4명은 앞서 발생한 환자의 접촉자들로, 2명은 2차 감염이고, 2명은 3차 감염이다. 3차 감염이 발생한 것은 중국 이외 국가 중 한국이 처음이다.

31일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내 발생 8번째 환자는 중국 우한을 방문하고 23일 인천공항으로 귀국한 62세 한국인 여성이라고 밝혔다. 이 환자는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전북 익산 원광대병원)에 격리됐다.

이 환자는 전날 확진된 7번 환자(28세 남성, 한국인)와 23일 오후 10시 20분 같은 비행기(청도항공 QW9901편)로 입국했다. 현재까지 7번 환자의 접촉자는 가족 등 2명으로 자가격리 중이다. 그러나 동일한 비행기에서 환자가 2명이나 발생하면서 해당 비행기에 탔던 탑승자가 대거 접촉자로 분류될 것으로 보인다.

9번 환자는 앞서 발생한 5번 환자(33세 남성, 한국인)의 지인으로 2차 감염자다. 국내 두번째 2차 감염 사례다.

10번 환자는 6번 환자의 아내, 11번 환자는 6번 환자의 아들로 모두 서울대병원에서 치료 중이다. 9∼11번 환자의 나이와 접촉자, 이동경로 등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10·11번 환자는 국내 첫 2차 감염자인 6번 환자(55세 남성, 한국인)의 가족으로 3차 감염이 유력하다. 10번 환자는 아내, 11번 환자는 아들이다. 6번 환자의 딸은 검사가 진행 중이다. 보건당국은 당초 딸의 검사 결과가 음성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지만, 1시간 뒤 검사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정정했다.

6번 환자의 접촉자는 10·11번 환자를 제외하면 6명이다. 이들 6명은 자가격리 중이며 심층조사가 시행되고 있다.

6번 환자는 3번 환자(54세 남성, 한국인)와 함께 서울 강남 음식점(한일관)에서 식사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 때문에 3번 환자가 ‘슈퍼전파자’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3번 환자의 접촉자는 95명이다. 이 가운데 3번·6번 환자와 함께 식사를 한 사람은 3명으로 1명은 검사 결과가 음성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2명 검사 결과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전날 확인된 5번 환자는 중국 우한시를 업무차 방문하고 24일 우한시 인근 장사 공항에서 아시아나 OZ322를 타고 귀국했다. 귀국 당시에는 증상이 없었지만 26일 오후부터 몸살 기운이 생겼다. 5번 환자가 접촉한 사람은 감염이 확인된 1명을 제외하고 9명이다. 이들은 자가격리된 상태에서 조사를 받고 있다.

이날 2차 감염자가 1명 추가되고, 3차 감염자가 2명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보건당국은 아직 지역사회에 바이러스가 광범위하게 전파한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위기경보도 기존 ‘경계’ 단계를 유지하기로 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질병관리본부장)은 “아직은 해외 유입사례거나 접촉자의 범위 내에서 확진환자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감염원이 전혀 밝혀지지 않은 환자들이 발견되거나 굉장히 광범위하게 환자가 발생해야 지역사회 전파 증거로 위험도를 평가한다. 현재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가족과 지인들 사이에 전파가 이뤄졌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광범위한 전파라고 판단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국내 환자 11명 상태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다. 보건당국은 이날 돌았던 ‘4번 환자 사망설’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이날 오전에는 중국 후베이성에 체류하던 교민 368명이 귀국했다. 18명이 발열 등 증상이 있어 병원으로 이송됐고, 350명은 임시생활시설에 입소해 14일간 격리생활을 시작했다. 보건당국은 귀국 교민 전원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검사 결과는 이르면 다음 달 2일 나온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
Ŭ! ̳?
Ϻ IJ о
õ
Ϻ 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