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최종 입지를 정하는 주민투표에서 의성 비안·군위 소보(공동후보지)가 선택됐다.
22일 대구시와 경북도에 따르면 전날 실시된 신공항 최종 입지 선정 주민투표 결과 경북 의성(비안·공동후보지)은 찬성 90.36%(3만8534표), 반대 9.64%(4112표)로 찬성률이 가장 높았다. 비안과 공동후보지인 군위 소보는 찬성 25.79%(4436표), 반대 74.21%(1만2762표)였다. 단독후보지인 군위 우보는 찬성 76.27%(1만3246표), 반대 23.73(4122표)%로 찬성이 반대보다 압도적으로 높았지만 의성 비안에 미치지 못했다.
신공항 이전 부지는 주민투표 찬성률(50%)과 투표참여율(50%)을 합산한 결과가 군위 우보지역이 높으면 단독후보지를, 군위 소보나 의성 비안 지역이 높으면 공동후보지를 선정기로 했다. 군위군민은 단독후보지와 공동후보지(2표)에 대한 찬반을, 의성군민은 공동후보지(1표)에 대한 찬반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투표가 이뤄졌다.
앞서 지난 16·17일 사전투표 결과와 본투표 결과를 합친 최종 투표율은 의성 88.69%(4만2956명), 군위 80.61%(1만7880명)다. 찬성률과 투표참여율 모두 의성이 가장 높았기 때문에 최종 부지로 공동후보지가 선택된 것이다.
최종 이전 확정까지는 아직 절차가 남아있다.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유치 신청’과 ‘이전부지 선정위원회 심의’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주민투표 이후 유치 신청 기한은 특별법에서 따로 정하고 있지 않아 최종 이전지 확정 시한을 예측하기가 쉽지는 않다.
군위 우보 단독후보지는 군위군수 단독 유치 신청, 군위 소보·의성 비안 공동후보지는 군위군수, 의성군수 공동 유치신청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이번 투표 결과에 따라 두 지역의 군수들이 함께 유치신청을 해야 한다.
앞서 군위와 의성은 2017년 공항 이전 후보지로 선정되면서 공항 유치에 사활을 걸었다. 그동안 주민투표를 앞두고 유치전이 치열해져 양 지역 간 고소·고발이 이어지는 등 지역 갈등까지 빚어졌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투표 결과가 나온 만큼 후속 작업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사업은 대구 공군기지와 민간 공항을 이전하는 사업으로 총사업비가 9조원에 달한다. 신공항은 대구시와 민간투자자가 먼저 필요한 모든 시설을 지어 준 뒤 대구의 공군기지 터를 개발해 비용을 충당하는 ‘기부대양여’ 방식으로 추진된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GoodNews paper Ϻ(www.kmib.co.kr), , , AIн ̿